2010년 9월 12일 일요일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기록을 통해서 본 러시아의 연해주 개척

이 글은 폴란드 출신 정치범으로 연해주 발전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미하일 양코프스키(Mikhail Jankowski 또는 Mikhail Ivanovich Yankovsky, 1842-1912)의 개인사를 추적한 기록이다.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정치범으로 시베리아에 유배되었지만 자유민이 된 후 연해주에 정착해 러시아 변경지역 개척자로서 크게 활약한 인물이다. 또한 그는 연해주에 정착하면서 구한말 이 지역으로 이주한 한국인들과 광범위한 교류의 흔적을 남겼다. 그리고 그의 후손들은 1922년 블라디보스토크가 적군의 손에 들어가자 함경북도 청진으로 피신해 인근 주을에서 백계러시아촌을 형성해 살면서 식민지 시대 한반도에 거주한 러시아인들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국내는 물론 영어권에서 미하일 양코프스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고는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통해 연해주가 러시아의 변경으로 확립되는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한다.양코프스키 가문은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아주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양코프스키 가문의 선조들은 이교도들에게 약탈당한 성궤를 되찾기 위해 십자군전쟁에 여러 차례 참여했다. 또한 가문의 선조중의 한 사람인 타데우쉬 양코프스키(Tadeush Novina Yankovsky)는 14세기경 폴란드 영토를 침략한 튜튼기사단에 대항해 전투에 참가해 폴란드 왕의 목숨을 구하는데 커다란 공을 세웠다. 그러나 타데우쉬는 이 전투에서 다리를 잃게 되었고, 왕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그에게 기사의 작위와 청색 배경에 방패와 단검이 새겨진 가문의 문장을 하사했다. 폴란드어로 노비나로 불리는 이 단검은 이후 수 백년 동안 양코프스키 가문의 중요한 상징으로 간주되었다. 1922년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후손들이 볼셰비키 혁명을 피해 함경북도 주을에 정착하면서 이곳에 세운 휴양지를 노비나라고 칭하기도 했다.얀 양코프스키(Yan Yankovsky)의 아들로 태어난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폴란드 북동부 지역 티코친(Tykocin) 인근에 위치한 가문의 장원에서 대부분의 유년 시절을 보냈다. 러시아 서부변경에 위치한 폴란드 출신인 그가 연해주에 정착하게 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러시아와 폴란드의 역사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대 폴란드의 역사는 망국의 한이 사무친 비극의 연속이었다. 18세기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는 절대군주제를 바탕으로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로 팽창하고 있었다. 반면에 이들 나라에 둘러싸인 폴란드는 약체 귀족공화국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영토를 유린당하고 있었다. 1772년과 1793년 이들 주변 강대국에 의한 1, 2차 분할에 이어, 1795년 제3차 분할을 계기로 폴란드는 유럽의 지도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에도 나라를 잃어버린 10여 만명의 폴란드인들이 독립을 되찾기 위해 프랑스의 나폴레옹을 도와 러시아를 공격하는데 참여했지만 이들의 노력도 실패하고 말았다. 1815년 유럽의 국경을 결정하기 위해 빈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도 폴란드의 해체는 재확인되었고, 명목만 남아 있는 바르샤바공국은 러시아와 결합된 폴란드왕국으로 개편되었다. 19세기 후반 유럽사회를 관통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폴란드인들도 러시아에 대항해 수시로 크고 작은 독립운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들의 독립운동은 짜르의 강력한 전제정치와 주변국들의 무관심으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폴란드 민족의 독립운동은 1856년 러시아가 크리미아전쟁에서 패하면서 다시 살아났다. 전쟁에서 패한 러시아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약화되었고 사회적으로도 불안이 고조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1855-81)는 유럽의 강대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개혁을 통해 러시아 사회의 후진성을 탈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깨달았다. 알렉산드르 2세는 농노제를 폐지하고 폴란드에 대해 보다 온건한 정책을 추진했다. 나아가 폴란드에 대한 계엄령을 철회하고 정치범들을 사면하고 언론에 대한 검열도 완화했다. 1862년에는 폴란드 귀족과 엘리트 계층을 포용하기 위해 온건한 비엘로폴스키 후작(Aleksander Ignacy Wielopolski, 1803-1877)을 새로운 폴란드 행정 책임자로 임명하기도 했다. 알렉산드르 2세의 유화정책에도 불구하고 자치와 독립을 위한 폴란드인들의 요구는 커져만 갔다.
1861년 말부터 시작된 일련의 폭동은 농민과 학생들에 의한 조직적인 무장봉기로 발전했다. 1861년 빌니우스(Vilnius)에서만 116번의 크고 작은 시위가 일어났다. 폴란드인들의 독립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기 위해 러시아군이 소집되었고, 1863년 1월 23일 밤 비엘로폴스키는 폴란드 청년들을 러시아군에 징집하기 위한 긴급명령을 발표해 시위를 진정시키려고 했다. 그러나 그의 계획은 실패하고 오히려 폴란드인들이 대규모로 봉기를 일으키는 계기를 제공했다. 1863년 1월 폴란드,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지역을 중심으로 러시아의 전제정치에 항거해 발생한 폴란드인들의 독립운동은 흔히 1월봉기(1863-1864)로 알려져 있다. 1월봉기에 참여한 사람들은 주로 노동자, 서기, 하위 성직자, 농민 및 학생들이었다. 이들은 전문적인 군사훈련도 받지 못했고 지도자도 없었으며 무기도 부족했다. 봉기군의 사령관으로 내정된 미에로스와프스키(Ludwik Mierosławski, 1814–1878)는 프로이센지역에서 폴란드로 이동 중 러시아군에 의해 진로가 차단되어 봉기군을 지휘할 수 있는 기회도 갖지 못했다. 때문에 다음 1년 반 동안 계속된 1월봉기에 폴란드인들이 크고 작은 전투에 참여했지만, 대부분 산발적인 소규모 게릴라전 형식으로 진행되어 러시아군에 의해서 쉽게 진압되었다.
폴란드 귀족가문 출신인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1월봉기가 발생할 당시 모길료프(Mogilyov) 지역의 고레츠 농업대학(Gorets Agricultural Institute)에 재학 중인 학생이었다. 또래의 폴란드 청년들과 마찬가지로 미하일도 러시아 지배에 대해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1863년 1월봉기가 발생하자 미하일은 동료들과 함께 모길료프 지역에서 급히 조직된 한 학생독립운동단체에 가담했다. 이 단체는 루드윅 즈베즈도프스키(Ludvig Zvezhdovski)에 의해 곧 소규모 군사조직으로 발전했다. “도끼”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루드윅은 전에 모길료프 주지사의 보좌관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인물로 당시 총참모부에서 장교로 근무하고 있었다. 1월봉기에 참여한 폴란드 혁명세력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무기이었다. 미하일이 속해 있는 소규모 군사조직은 중앙민족위원회(Centralny Komitet Narodowy, Central National Committee)의 지시에 따라 정부에서 보관하고 있던 금을 탈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폴란드 혁명세력은 이 금을 탈취해서 영국에서 루시타니아의 한 항구로 전달될 예정인 무기류의 구입대금으로 지급하려고 했다. 미하일 양코프스키가 소속된 분견대는 러시아의 수송마차를 급습해 황금으로 가득 찬 상자를 탈취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승리의 기쁨도 잠시뿐 이들은 뒤쫓아 온 러시아군에 의해 체포되었다. 루드윅과 미하일을 비롯한 혁명세력은 모두 체포되었고, 러시아군은 금괴를 다시 회수했다. 한편 금괴탈취사건의 주모자인 루드윅 즈베즈도프스키는 체포 즉시 탈출에 성공했으나 곧 다시 잡혀 처형되었다. 미하일을 비롯해 금괴탈취사건에 참여한 혁명세력들은 보브루이스키(Bobruisk) 감옥소에 투옥되어 반란죄로 법정에 서게 되었다. 1863년 5월 22일 모길료프에서 열린 군사법정에서 미하일은 무장봉기를 선동하고 체포 당시 무기를 은닉했다는 죄목으로 기소되었다. 미하일에 대한 심문은 1863년 여름까지 진행되었다. 1863년 9월 미하일에 대한 최종 선고가 결정되었다. 크라이지역의 총독인 미하일 무라비요프(Mikhail Nikolayevich Muravyov-Vilensky, 1796-1866)는 양코프스키 어머니의 강력한 탄원에도 불구하고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귀족 지위를 박탈하고 전 재산을 몰수했다. 그리고 시베리아에서 8년동안 강제노동을 하도록 중형을 선고했다.
1월봉기는 폴란드 독립운동에 분수령이 되었다. 봉기의 실패로 수많은 폴란드인들이 처형되었고 이들이 거주하던 마을은 러시아군의 약탈로 폐허로 변했다. 특히 1월봉기 당시 빌니우스 지역 치안책임자인 미하일 무라비요프는 “사형집행인”으로 알려질 정도로 악명 높은 사람이었다. 그는 128명의 사형을 집행했고 9423명의 폴란드인들을 러시아 서쪽 변경인 동토의 시베리아로 추방했다. 미하일 양코프스키도 정든 고향을 등지고 아무 연고도 없는 미지의 동토로 떠나야만 했다. 미하일 일행은 러시아 중부 스몰렌스크(Smolensk)를 출발해 무려 18개월이나 걸어서 동부 시베리아의 트랜스바이칼 지역에 도착했다. 시베리아로의 여정은 고통의 연속이었다. 추위와 굶주림으로 도중에 많은 정치범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당시 시베리아에는 이미 짜르의 전제정치에 항거해 1825년 봉기에 가담한 죄로 유배 온 12월당원들이 광산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고 있었다. 죄수들은 광산에서 잡역부로 일하거나 아무르강에서 목재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바지선을 제작하는 등 중노동에 시달려야만 했다.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바이칼 호수 부근 광산에서 잡역부로 일하며 고통스러운 중노동을 견뎌야만 했다. 다행히도 1868년 알렉산드르 2세가 사면을 발표해 미하일을 비롯한 1월봉기에 참여한 일부 죄수들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동부 시베리아에서 자유롭게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자유를 얻은 미하일은 광산 잡역부로 일한 경험을 살려 레나강 지류인 오랙마에 위치한 금광에서 일자리를 얻어 정착했다. 러시아의 동쪽 끝에서 태어난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이제 죄수에서 자유인으로 신분이 바뀌면서 러시아의 서쪽 끝 변경지역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게 되었다.
미하일의 연해주 정착은 러시아의 극동지역 팽창과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19세기 후반 이후 짜르 정부는 시베리아 변경지역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시베리아 개발에 핵심에 놓여 있는 인물은 바로 니콜라이 무라비요프(Nikolay Nikolayevich Muravyov-Amursky, 1809-1881)이었다. 1847년 동시베리아 총독으로 임명된 이후 무라비요프는 시베리아 특히 아무르 지역에 대한 러시아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이 지역에 대한 과학적 탐사를 추진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무라비요프는 동시베리아의 총독부가 있는 이르쿠츠크(Irkutsk)에 러시아지리학회 동시베리아지부를 설치하고 나아가 행정적 재정적으로 적극 후원했다. 사실상 동시베리아지부는 설립 초기부터 동시베리아 행정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당시 시베리아에는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행정관리나 지식인들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 지역으로 유배 온 정치범들이야말로 지리학회의 탐사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재풀 중의 하나였다. 정치범으로 시베리아에 유배 온 인물가운데 과학적 지식이 있는 상당수 사람들이 러시아지리학회의 동시베리아 지부에 고용되어 탐사활동에 참여했다. 특히 1863년의 1월봉기 이후 시베리아로 추방된 일부 폴란드 출신 지식인들은 유형생활을 통해 자연환경 분야에서 전문적인 수준의 지식과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현장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전문가로 거듭난 사람들이었다. 더구나 이들은 현실적으로 부자유스러운 신분에서 벗어나기 위해 험난하고 외진 곳에서 살 의사도 있었다. 이들은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태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지리학회 동시베리아지부가 제공하는 저렴한 임금도 이들에게는 커다란 힘이 되었다. 그리고 혼잡하고 법과 질서가 유지되고 있던 유럽보다 시베리아에서 이들은 보다 자유롭고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짜르제국의 전제정치에 항거해 반란과 봉기에 깊숙이 개입한 인물들이 바로 이제 시베리아에서는 러시아 제국을 건설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예를 들면 폴란드의 한 대학에서 자연과학을 전공한 알렉산드르 체카노프스키(Aleksander Czekanowski, 1833-1876)는 1월봉기에 가담한 죄로 1865년 시베리아의 동남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서 강제노동을 선고 받았다. 그는 자신의 전공을 살려 지역의 식물과 광물을 채집했다. 후에 이러한 공로로 이르쿠츠크로 보내져 러시아지리학회 동시베리아지부에서 일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1870년대 러시아지리학회 동시베리아지부를 위해 탐사활동에 종사한 사람 중에는 베네딕트 드보프스키(Benedykt Tadeusz Dybowski, 1833-1930) 등이 있다. 강제노동에서 해방된 미하일 양코프스키도 러시아에 대한 민족적 분노를 극복하고 이제 주어진 환경에서 새롭고 창조적인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베네딕트 드보프스키는 미하일이 연해주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이들은 같은 폴란드계 러시아인으로 유사한 인생경로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민스크(Minsk) 출신으로 동물학을 전공한 드보프스키는 바르샤바의 한 대학에서 동물학 교수로 근무했었다. 열렬한 폴란드 독립운동가로 1861년 빌니우스에서 발생한 시위에 참여하기도 한 그는 1월봉기에 가담한 죄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 받았다. 그러나 동료학자들의 탄원과 독일 정치가 비스마르크의 압력을 통해 12년간 시베리아의 유배로 감형되었다. 1864년 8월 10일 드보프스키는 상트 페테스부르크를 출발해 모스크바와 노브고르드를 거쳐 1864년 12월 이르쿠츠크에 도착했다. 드보프스키는 치타(Chita) 부근에 배정되어 중노동에 시달리면서도 기회가 있는데로 주변지역의 동식물을 연구하고 환자들을 치료해 주었다. 그의 능력을 눈여겨보고 있던 코르사코프(Mikhail Semyonovich Korsakov: 1826-1871)총독은 동시베리아 지역의 풍부한 자연자원과 생태계를 연구할 수 있도록 1866년 드보프스키를 강제노역에서 풀어주고 시민권을 복권시켜 주었다. 그리고 그에게 다슨(Darsoon) 온천지역의 한 병원에서 환자를 치유하며 근무하도록 제안했다. 드보프스키는 이 주변 지역에서 조류, 어류, 포유류 등을 연구할 수 있었다. 1868년 가을 드보프스키는 이르쿠츠크로 그리고 후에 바이칼호수 남서쪽에 위치한 쿨툭(Kultuk)에 정착했다. 그리고 이곳에서 러시아지리학회의 지원으로 바이칼호수의 생태계를 연구했다. 1869년에는 아무르 하구지역에서 스콜코프(Skolkov) 장군이 주도하는 한 위원회에 프르제발스키(Nikolai Mikhailovich Przewal'skyy, 1839-1888)와 함께 참여했다. 이 위원회는 우수리지역의 식물군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황비를 위한 식물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식물을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위원회에서 드보프스키는 주로 어류군을 조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고 이 탐사에 참여한 프르제발스키는 1867년부터 지신허, 얀치헤, 시미지 등 한인정착지역과 한반도 북부의 경흥 등을 방문하고 1870년 페테스부르크에서 『우수리지방 여행, 1867-1869』를 출간하기도 했다.
1872년 어느 날 베네딕트 드보프스키는 미하일에게 흥미로운 제안을 했다. 당시 드보프스키는 러시아지리학회로부터 아무르강 분지에서 북태평양 연안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생태 환경을 조사해 줄 것을 요청받은 상황이었다. 드보프스키는 이 조사에 미하일이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 농업대학에 다녔던 미하일은 평소에 동식물을 수집하고 가축을 기르는 등 자연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미하일은 금광 일을 포기하고 드보프스키의 탐사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미하일은 얼마 안 되는 살림도구와 총 그리고 유일한 친구인 애완견 ‘바’와 함께 드보프스키를 만나기 위해 치타로 갔다. 치타에는 빅토르 고들레프스키(Victor Godlewski, 1840-1880)라고 불리는 또 다른 정치범이 탐사에 참여하기 위해 미하일을 기다리고 있었다.드보프스키는 양코프스키, 고들레프스키 등과 함께 우수리 지역 남부일대 조사에 착수했다. 드보프스키 일행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아무르강을 따라 여행하기에 적합하고 급한 물살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선박을 제작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탐사대원들은 치타를 출발해 미하일이 유배 시절 바지선을 만들곤 했던 잉고다강 유역에 위치한 시바코보(Sivakovo)라고 불리는 코사크 마을에 도착했다. 그리고 이곳에서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노와 돛이 장착된 작은 목선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배를 “희망호”라고 명명했다. 탐사대원들은 이후 2년여 동안 희망호를 타고 잉고다, 시르카, 아르곤 그리고 아무르강을 차례로 탐사하며 많은 동식물들의 표본을 채집했다. 탐사 이 년째 되는 해 겨울 미하일 일행은 우수리강 어귀로 들어가 선박을 카자케비체보(Kazakevichevo)라고 불리는 인근 코사크 마을에 정박시켰다. 그리고 수집한 물고기, 새, 조류, 곤충, 포유동물의 두개골, 모피, 그리고 광산에서 캐낸 광석의 견본을 동부시베리아의 수도인 이르쿠츠크로 보내고 탐사를 마쳤다. 연해주 지역의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일행들은 숭가차강(Sungacha River)과 한카호(Khanka Lake)를 건너 1874년 8월 당시 군사요새지로 새롭게 조성되기 시작한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탐사활동이 종료된 후 미하일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직업이 필요했다. 당시 블라디보스토크 주변에는 광산이 한창 개발되고 있었지만 능력 있고 경험이 풍부한 러시아 출신 광부들을 확보하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다년간 광부로 일한 경험을 가지고 있던 미하일은 쉽게 일자리를 구할 수 있었다. 미하일은 카타케비체보에서 체류하는 동안 쿠스터(Kuster)라고 불리는 광산주가 소유하고 있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약 50킬로미터 떨어진 아스콜드섬(Askold)의 한 금광의 지배인이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이를 수락했다. 이후 1874년부터 1879년까지 약 5년간 미하일은 아스콜드섬에 있는 광산에서 지배인으로 일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주변 천혜의 자연환경은 미하일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미하일은 시간이 있을 때마다 블라디보스토크 주변지역을 탐사하기 시작했다. 이미 미하일은 아무르 지역의 탐사를 통해 그리고 아스콜드섬의 금광 지배인으로 연해주 지역 자연환경에 대해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가끔 북태평양 연안을 따라 한반도 동해안까지 배를 타고 내려와서 말을 타고 올라오곤 했다. 1877년 미하일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남쪽으로 20 마일 떨어진 아무르만 서안에 위치한 작지만 아름다운 반도를 발견했다. 원주민들이 시데미(Sidemy)반도라고 부르는 이 지역은 문명의 이기가 아직 소개되지 않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지닌 지역으로 원주민과 한인 그리고 중국인들이 혼재해 살고 있었다. 시데미반도는 농장을 경영하는데 적합한 최적의 장소였다. 이곳에는 바닷가로부터 바람이 항상 불어오기 때문에 우수리 지역의 가축사육업자들이 두려워하는 모기와 날파리들도 거의 살지 않았다. 그리고 주변에는 깨끗한 샘물과 최상급의 목초지도 있었다. 사람들의 왕래가 뜸한 모래사장도 있고 주변에는 물고기와 게들로 가득 차 있었다. 특히 평소 말의 사육에 관심이 많았던 미하일은 이 지역의 기후와 토양이 말을 사육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이 지역에 정착해 살길 원했다. 당시 시데미반도는 국유지로 관리되고 있었다. 미하일은 곧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군총독 에드만(Gustav F. Erdman, 1818-1883)을 만나 이 지역을 장기간 임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시베리아 정부는 광활한 미개간지를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에드만은 미하일을 열정적인 사람으로 생각했다. 미하일이 자신의 재산과 노력으로 이곳에 뛰어난 종마 사육장을 만들 수 있다고 판단한 에드만은 미하일에게 반도 전체를 장기간 임대해 주었다.
블라디보스토크의 개발이 가속되고 아스콜드섬의 광산업이 번창하면서 러시아인들은 물론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연해주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미하일도 오랜 방랑생활에 마침표를 찍고 아스콜드섬에 정착하면서 이들 새롭게 정착한 친구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지냈다. 이들 가운데는 극동지역 북태평양 연안에서 전설적인 탐험가로 잘 알려진 겍(Fridolf Kirillovich Gek, 1836-1904)이라 불리는 항해사가 있었다. 겍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반도 남단에 위치한 갑, 만, 곶 등 여러 곳이 그의 이름을 따라 명명되기도 한 인물이었다. 또한 그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아스콜드섬까지의 각종 선박운송을 담당하면서 미하일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에드만으로부터 임대허가를 받은 뒤, 미하일은 겍을 만나 시데미반도를 설명하며 이곳에 함께 정착해 살자고 제안했다. 북태평양 연안을 수시로 탐사해 경험이 풍부한 겍 역시 이 지역을 잘 알고 있었다. 캑은 양코프스키의 제안에 응하기로 결심하고 곧 반도로 이주했다. 겍 선장은 해안가에 집을 짓고 거주했는데 이후부터 이 지역은 겍의 이름을 따라 겍만으로 불려지기도 했다. 한편 미하일은 시데미반도의 한 계곡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 지역은 낮은 산등성이로 인해 폭풍우로부터 가축들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차 종마목장터로 안성맞춤이었다. 특히 계곡지역에는 커다란 호수를 채울 수 있는 작은 강도 있어 가축들을 사육하기에도 편리했다. 그러나 미하일은 이곳으로 즉시 이주할 수 없었다. 미하일이 아스콜드 광산의 소유주 쿠스터와 맺은 고용계약이 아직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쿠스터가 그의 이주를 극구 반대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결혼 적령기가 지난 미하일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일생을 함께 할 반려자였다. 미하일의 손자 발레리에 의하면, 미하일은 시데미반도에 정착해서 집을 짓고 농장을 경영하기로 결심하면서 결혼을 서둘러서 하려고 했다. 농장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사를 같이할 가족들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동안 미하일은 아스콜드섬에서 사망한 한 퇴역군인의 아내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여성과의 사이에 아들 알렉산드르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여성이 갑자기 죽게 되자 미하일은 무엇보다도 아들을 돌보며 인생을 함께 할 동반자가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당시 블라디보스토크는 연해주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로 발전하고 있었고 그나마 다른 지역에 비해서 처녀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한 미하일은 결혼 상대자를 찾는데 지역의 사진사인 칼 이반 슐츠(Karl Ivanovich Shultz)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칼은 인근에 살고 있는 15명의 처녀들의 사진을 보여주며 이들 처녀 개개인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었다. 이 가운데 미하일은 다른 어떤 처녀보다 올가(Olga Lukinichna)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올가는 시베리아의 원주민인 블리아트 출신이었다. 어려서 고아가 된 올가는 삼촌이자 블라디보스토크항의 부항만장이던 오십 이바노비치 쿠르투코프(Osip Ivanovich Kurtukov)의 집에서 가사 도우미로 일하고 있었다. 올가는 말이 친척이었지 하인과 같은 삶을 지내고 있었다. 당시 오십의 집에는 올가의 숙모와 할머니 그리고 두 명의 조카 등 네 명의 여자들이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집안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대신 올가만이 새벽 5시에 일어나 강가로 가서 빨래하고 돌아와서는 음식을 만들고 청소하는 등 모든 집안일을 도맡아 하고 있었다. 미하일이 필요한 사람은 바로 올가와 같이 검소하고 근면한 사람이었다. 다음 날 아침 미하일이 오십을 만나 자신을 소개하자, 오십은 미하일이 자신의 딸에게 관심이 있은 것으로 생각하고 그를 저녁식사에 초대했다. 올가를 본 미하일은 한눈에 그녀에게 반했다. 올가는 검소한 옷을 입고 바쁘게 돌아다니며 일만하고 있었다. 미하일은 올가의 환한 웃음, 정열적인 힘 그리고 부지런한 본성 심지어 걸어 다니는 스타일도 좋아보였다. 아스콜드섬으로 돌아 온 미하일은 한 달 가량 심사숙고했다. 그리고 마침내 마음을 정하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올가에게 정식으로 청혼했다. 올가는 며칠간 망설였지만 결국 미하일의 청혼을 받아들였다. 한편 미하일이 오십의 딸을 선택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올가의 가족들은 미하일의 결정에 모두 놀랬다. 그러나 누구도 이들의 뜻을 꺽을 수는 없었다. 올가의 할머니로부터 결혼 승락을 받은 미하일은 1877년 5월 2일 결혼식을 검소하게 치룬 뒤 작은 포경선을 타고 함께 아스콜드섬으로 돌아 왔다.
미하일과 올가는 아스콜드섬에서 신혼의 행복한 시기를 보냈다. 1878년 이들 부부는 미하일의 혼전 아들인 알렉산더(Alexander: 1876-1944)를 입양했다. 그리고 같은 해 이들 부부 사이에 첫딸이 태어나 엘리자베스(Elizabeth: 1878-1915, approx)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리고 1879년 4월에는 아들 유리(Yuri: 1879-1956)가 태어났다. 정치범으로 홀로 시베리아에 유배 온 미하일에게 가족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미하일은 하루빨리 쿠스터와의 고용계약을 종료하고 시데미반도에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건설하기를 꿈꾸고 있었다. 더구나 이미 시데미에 정착한 겍은 수시로 아스콜드섬을 방문해 미하일과 올가에게 시데미반도에서의 생활을 흥미롭게 알려주었다. 그는 이 부부에게 만 주위에서 서식하고 있는 풍부한 야생조류와 짐승들 그리고 어류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만으로 들어오는 청어 무리, 강 입구를 산란장소로 삼아 회귀하는 엄청난 연어무리, 그리고 반도와 본토를 가르는 늪지대에는 오리, 거위, 백조들이 살고 있으며, 주변의 언덕은 뀡과 야생사슴의 천국이었다. 양코프스키 가족은 하루 속히 이곳으로 이주해 살기를 원했다.
1879년 6월 미하일은 마침내 광산 지배인으로서의 직업에 마침표를 찍고 아스콜드섬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겍 선장은 누구보다 기뻐했다. 그동안 시데미반도에서 쓸쓸히 지내던 겍 가족들에게 이제 새로운 이웃이 생긴 것이다. 겍 선장은 직접 미하일 가족들을 자신의 스쿠너 “아나”에 태워 시데미반도로 데리고 왔다. 미하일 가족 이외에도 처남들, 그리고 그동안 미하일과 함께 생사고락을 같이한 한인들과 퇴역 러시아 군인들도 미하일을 따라 반도로 들어 왔다. 송아지, 농업 도구들 그리고 텐트 등도 함께 배에 싣고 왔다. 양코프스키 가족은 행복한 미래를 기대하며 새로운 정착지에 도착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커다란 재앙이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겍이 미하일을 데리러 간 사이에 북만주 일대에서 마적으로 악명 높은 홍호자가 시데미반도에 출현해 모든 것을 앗아가 버린 것이다. 홍호자들은 겍의 집을 약탈하고 불을 질러 폐허로 만들어 버렸다. 겍의 부인은 잔인하게 매를 맞고 강간을 당해 죽은 채 줄에 매달려 눈을 뜨고 볼 수 없을 정도이었다. 농장의 일꾼들도 모두 살해당해 지하실에 버려져 있었다. 우리를 빠져 나온 소들은 산기슭으로 올라가 울부짖고 있었으며, 겍의 7살짜리 아들은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져 버렸다.
홍호자에게 약탈을 당한 것은 겍의 가족만이 아니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이곳에 새로이 정착하기 시작한 한국인들이었다. 당시 시데미 지역은 러시아의 공권력이 아직 미치지 않는 무법지대이자 미개발지이었다. 무방비 상태에서 한인들은 홍호자들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겍과 미하일이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시데미 부근 20킬로 반경에 살고 있던 한인들이 작은 노새를 타고 겍의 집에 도착해 그동안 일어났던 일들을 상세히 미하일과 겍에게 설명해 주었다. 한인들은 겍이 집을 비운 사이에 마적들이 한인 거주지는 물론 겍의 농장을 약탈하고 도망갔다고 말해주었다. 대다수가 중국인들로 구성된 마적들은 시데미 인근 지역을 자신의 관할구역으로 생각하고 한국인과 러시아인의 이주에 대해 적대적인 반응을 보이며 원하는 대로 약탈해 간 것이다. 또한 마적들은 한국인들을 인질로 잡아 가기도 했다. 이곳에 정착한 한인들 중에는 한반도 북부의 험준한 산악지대에서 많은 경험을 쌓은 사냥꾼들도 있었다. 미하일과 겍은 이들 한인들과 함께 복수하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홍호자들을 추적하기 위해 미하일의 주도로 일종의 “국제부대”를 조직했다. 이들은 시베리아 타이가 삼림으로 도망간 마적들을 추적했다. 한편 용감한 올가는 자식들을 보호하기 위해 칼빈총으로 무장하고 바다 위에 정박한 스쿠너에 그대로 남아 있기로 했다. 미하일과 겍은 만주 국경선을 따라 이들을 추적해 일부를 생포하기도 하고 총격전을 통해 일부를 사살하기도 했다. 그리고 납치된 한국인 인질들은 무사히 구출해 냈다. 그러나 겍의 어린 아들의 생사에 대해서도 전혀 알 수 없었다. 극도의 실망에 빠진 겍은 이후에도 중국 국경을 수십 차례나 다니며 마적을 추적하고 아들의 거처를 수소문했지만 찾지는 못했다. 나아가 이 사건을 계기로 양코프스키 가족들은 중국인에 대해서는 뿌리 깊은 증오심을 그러나 한국인들에 대해 마음 속 깊은 신뢰를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에도 마적들은 시데미반도 주변에 수시로 출몰했다. 이곳에 정착한 러시아인들은 물론 한인들에게도 홍호자들은 타이가의 호랑이만큼이나 두려운 존재였다. 특히 당시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심한 가뭄이 들어 연해주 지역으로 이주하는 한인들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러시아의 공권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었다. 한인들은 자신의 재산과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토착세력이 무엇보다 필요했다. 자연스럽게 한인들은 미하일 양코프스키를 중심으로 모였고 그의 보호 하에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다. 미하일은 일종의 자경단을 조직해 마적단의 약탈에 적극적으로 대항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심지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험에 빠진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1880년 3월 어느 날 마적단을 추적하는 도중 미하일은 커다란 위기를 맞이했다. 마적단의 두목이 미하일을 죽이려고 몰래 나무 뒤에 매복해 있었다. 미하일은 주변에 무엇인가 있다는 이상한 감정을 느꼈다. 낌새를 눈치 챈 미하일은 다행히도 마적단 두목이 총을 쏘기 전에 먼저 방아쇠를 당겨 두목을 죽일 수 있었다. 이 마적 두목과의 대결은 연해주에 이주해 살고 있던 한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어떻게 미하일이 그를 죽이려고 몰래 숨어있던 마적을 볼 수 있었을까? 한인들은 미하일이 앞에는 물론 뒤에도 눈이 있어 사람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신기에 가까운 사격술을 가지고 있다고 믿게 되었다. [네눈이]의 전설이 탄생한 것이다. 네눈이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신기에 가까운 사격술은 곧 바람과 같이 퍼져 연해주의 한인촌은 물론 한반도의 유명한 사냥꾼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시베리아의 호랑이 사냥꾼 네눈이라는 이름은 미하일은 물론 그의 아들 그리고 손자에 이르기까지 양코프스키의 가족들을 칭하는 별칭이 되었다. 한국인들은 미하일의 아들 유리를 네눈이 아들로 그리고 유리의 세 아들을 네눈이 손자로 불렀다.
시데미반도에 정착한 미하일에게 무엇보다 급선무는 가족들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집과 가축들을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농장을 신축하는 것이었다. 미하일을 비롯한 가족들은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일했다. 특히 올가는 양코프스키 가족이 시데미반도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크게 기여했다. 항상 허리띠에 열쇄 꾸러미를 매달고 다니는 올가는 근면한 여성의 표상이었다. 올가는 양코프스키농장의 하인들을 관리하며 곡간을 책임지고 있었다. 또한 자녀들의 교육 등 안살림도 도맡아 했다. 그럼에도 올가는 단 한마디의 싫은 소리도 하지 않고 현명하게 가족을 이끌었다.
이들의 노력으로 1880년 정착한지 일 년도 안되어 가족은 견고한 벽돌로 총알도 관통할 수 없을 정도로 두꺼운 벽을 쌓아 요새와 같은 주택을 지을 수 있었다. 이렇게 집을 짓는 과정에서 필요한 흙이나 석회들을 바닷가 주변에서 얻어야만 했다. 1880년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시데미만에서 석회를 만들기 위한 재료들을 찾다가 해안가 인근에 드문드문 튀어나온 조그마한 둔덕들을 발견하고 이들을 파기 시작했다. 해안가에서 약 200미터 떨어진 그리고 해수면에서 약 30미터 정도 경사진 이 둔덕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조개무덤들이었다. 이 조개무덤에서 발견된 조개들은 석회로 사용하기에는 질이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신 양코프스키는 이 조개무덤들을 통해 시데미지역에서 석기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해 살았던 흔적을 발견하고 시간이 있을 때 마다 주변지역을 탐사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 조개무덤에서 석기파편, 토기파편 그리고 인간과 동물의 뼈들을 발견했다. 1887년 여름에는 마르가리토프, 셰벨레프, 줄리 브린너 등 연해주에 살고 있는 유력인사들의 후원을 받아 이 지역을 발굴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르가리토프가 작성한 당시의 발굴 보고서는 한국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학술잡지인 The Korean Repository 1892년 1월호에 영문으로 번역되어 게재되기도 했다. 이를 발굴한 일련의 러시아 학자들은 미하일의 이름을 따서 이를 양코프스키패총으로 이름지었고 양코프스키패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사시대 이지역의 문화를 양코프스키문화라 명명했다. 동시에 미하일은 인근 주민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시데미반도는 그의 이름을 따라 양코프스키반도로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반도와 가까운 본토에 있는 449미터 높이의 인근 지역의 산도 양코프스키산으로 명명되었다.
미하일은 오랫동안 기다렸던 종마장을 만들어 말과 소들을 사육하기 시작했다. 미하일은 말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타이가를 배회하는 호랑이들이었다. 시데미반도에 정착한 직후인 1880년 겨울 동안 이 지역에 호랑이가 출몰해 4마리의 종마와 어린 새끼 망아지들을 죽였지만 미하일의 종마장은 이러한 어려움도 극복하고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말들의 왜소한 체격이었다. 당시 시베리아 지역에는 열악한 기후조건 때문에 양질의 말들이 살기가 어려웠고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몽고종이나 만주종, 한국 재래종 등은 체격이 작았다. 이러한 열악한 조건 속에서 미하일은 매년 교배를 통해 키가 크고 주변 기후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말들의 품종을 개량했다. 특히 육지와 쉽게 차단될 수 있는 양코프스키반도의 지형적 특징 때문에 미하일은 육지로 통하는 입구를 막아 말들을 우리 밖에서 안전하게 방목할 수 있었다. 방목의 결과로 미하일의 말들은 주변의 말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이 빨랐고 시베리아의 차가운 기후도 쉽게 극복할 수 있었다. 이 말들은 마치 최상의 마부가 돌보는 것 같이 “비에 씻기거나 혹은 바람에 말려지면서” 품종이 개량되었다.
미하일은 말은 물론 소, 양, 돼지 등 여러 종류의 가축도 사육했다. 특히 당시 연해주 지역에는 한인들과 중국인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었는데 미하일은 이들이 약용으로 사용하는 녹용을 채취하기 위해 사슴을 사육하면서 막대한 돈을 벌기 시작했다. 1883년 이 농장을 방문한 양코프스키 가족의 친구 드보프스키는 농장의 변한 모습을 보고 경탄을 금치 못했다. 드보프스키는 그의 책 Siberian Reminiscence에서 극동지역 어느 곳에서도 미하일의 농장보다 나은 농장을 결코 본적이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농장의 발전은 무엇보다도 가족들의 헌신적인 노력 때문에 가능했다. 1880년 양코프스키 농장 설립 직후 처음 수년 동안 농장의 살림은 주로 가족들이 돌보았다. 처음에 미하일을 도운 유일한 조력자는 부인 올가, 처남 사이몬, 두 명의 퇴역한 군인들, 연해주로 이주한 한인 농민들뿐이었다. 미하일은 농장의 일꾼으로 중국인들보다는 한인들을 선호했고, 한인들은 미하일의 농장이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미하일이 한국인들을 선호한 이유는 중국인들이 대부분 마적과 연결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미하일은 마치 자신의 조국 폴란드가 러시아에게 유린당한 것처럼 열강의 침략과 가난의 고통을 피해 연해주로 이주해 온 한인들에게서 동병상련의 정을 느끼고 있었다. 있었다. 미하일은 농장 내에 집을 짓고 이곳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살 수 있도록 배려했다. 양코프스키농장에 고용된 한인들은 대부분 소와 말우리를 돌보는데 고용되었는데, 이들중 일부는 후에 독자적인 농장 소유주가 되기도 했다. 양코프스키농장은 시작한지 불과 수 년만에 대규모의 기업농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미하일의 성공적인 정착에도 불구하고 그의 마음 속 한 구석에는 항상 정치범이라는 꼬리표가 따라 다녔다. 그는 비록 자유민이 되었지만 동시베리아 군부의 감시 대상으로 항상 불안한 상황이었다.
양코프스키의 농장은 러시아 정부의 연해주 식민화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했다. 1880년대 중반 아무르지역의 총독부가 설치되면서 러시아 정부는 말의 사육이 연해주 지역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 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그리고 1884년 5월 8일에는 군부에서 말을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들이 제시되었다. 당시 말은 일반인은 물론 군대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동수단이었다. 동시베리아 군부는 병력을 증강하면서 기마대와 포병대를 위한 군마를 해당 지역의 농장에서 구입하고 있었다. 미하일의 지속적인 말 품종 개량작업은 어느덧 동시베리아 총독의 귀에까지 들리게 되었다. 1890년 여름 연해주의 코르프(Baron N.A. Korf) 총독이 양코프스키농장을 방문했다. 코르프 총독은 농장을 시찰하고 말들을 검사한 후 양코프스키농장에서 사육된 말들의 품종에 만족을 표시했다. 다만 문제가 있다면 아랍이나 유럽종에 비해 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군마로서의 적당치 않다고 생각하고 양코프스키농장에서 군마를 구입하는 것을 망설이고 있었다. 총독은 적어도 한 뼘 정도 키가 더 크고 날씬한 말들을 원했다. 동시에 코르프는 연해주 개발에 대한 미하일의 노력에 감사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그가 사면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 미하일은 아직 사면이 안된 정치범으로 인식되었고 경찰의 지속적인 감시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코르프의 제안에 따라 황제는 1890년 6월 5일 미하일에 대한 경찰 감시의 철회와 최종 사면을 내렸다.
한편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농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말을 군대에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했다. 그리고 코르프가 언급한데로 말의 키를 높이기 위해 품종개량에 전력투구했다. 당시 시베리아에서 가장 발전한 지역인 이르쿠츠크에는 국영목장이 있어 품질이 좋은 종마를 구할 수 있었다. 1891년 11월 미하일은 양코프스키농장에서 일하는 퇴역준위인 아파나시 안티포프와 함께 이르쿠츠크를 향해 긴 여정을 떠났다. 여행의 목적은 코르프 총독에게 약속한대로 군마로 납품할 말의 키를 적어도 한 뼘 정도 키우기 위해 필요한 종마를 구입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 미하일은 커다란 모험을 하고 있었다. 미하일의 이르쿠츠크 여행은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고 성공의 보장도 없었다. 미하일은 어린 말들을 팔고 은행에서 돈을 빌려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경제적 어려움 이외에도 시베리아의 추운 날씨와 매섭게 내리는 눈발을 헤치며 여행한다는 것은 목숨을 담보해야만 하는 모험이었다. 무엇보다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르쿠츠크까지는 5천5백 킬로미터의 먼 거리며 길도 아주 험난했다. 또한 타이가의 늑대와 호랑이 그리고 마적단들이 도처에서 출몰하고 있었다. 더구나 이르쿠츠크에 도착하더라고 품질이 좋은 말들을 구입할 수 있다는 보장도 없었다. 다행히 미하일은 정치범으로 보낸 죄수 시절에 걸어서 이 지역으로 유배 왔기 때문에 지리적 특징을 잘 알고 있었다. 미하일 일행은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고 1892년 새해가 되서야 이르쿠츠크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6마리의 충만하고 혈기 왕성한 어린 수말과 36마리의 암말을 구입했다. 이들은 러시아 국영농장에서 사육되는 톰스크 품종이며 또한 일부는 쿠즈네스크 지역의 개인 종마장에서 구입한 개량된 품종이었다.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이르쿠츠크에서 말들을 구입한후 고향 시데미를 향해 출발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은 지금까지 온 길보다 더욱 오랜 시간이 걸리고 위험했다. 무엇보다도 얼음이 녹는 봄철에 바이칼 호수를 횡단한다는 것은 무모하고 위험스러운 일이다. 꽁꽁 언 바이칼호수의 얼음들이 녹기 시작하면서 물구멍이 이곳저곳에서 드러났다. 미하일 일행이 셀렝가강에 도달할 무렵 강의 얼음이 깨지면서 일행은 물속으로 빠질 뻔한 적도 있었다. 강을 건넌 후에도 일행은 시바코보의 코자크 마을에서 잉고다, 아르곤 그리고 아무르강을 따라 뗏목으로 이동해야만 했다. 물살은 일행을 집어 삼킬 정도로 거칠었다. 오랜 시간을 강에서 보내야 했기 때문에 건초를 구입하지 못해 말들이 거의 아사 직전에 이를 정도였다. 먹을 것이 아무 것도 없는 상황에서 미하일은 섬에서 구한 버드나무 가지를 잘라 먹이로 주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세 마리의 암말들이 병들고 결국에는 아무르강의 물속으로 빠져 죽기도 했다. 다행히 미하일 일행은 하바로프스크에서 우수리강 하구까지 증기선을 타고 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후 숭가차 강변과 한카호수 주위를 따라 말들을 몰고 수많은 늪지를 헤치며 걸어갔다. 이 여정에서 말발굽이 곰팡이에 감염되어 썩어서 절뚝거리기도 했다. 미하일은 말들이 회복할 수 있도록 니콜스크에서 거의 한달 동안 체류해야만 했다. 1892년 9월 약 10개월의 험난한 모험과 여정을 통해 6말의 종마와 33마리의 커다란 톰스크 암말들이 시데미 반도에 도착했다. 미하일은 이제 말들의 교배를 통해 키를 높이고 코르프 총독에게 한 약속도 지킬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895년 2월 17일 미하일의 종마장은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고 주 기업가 명단에 등재될 수 있었다. 이것은 말의 혈통을 유지하고 나아가 개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규칙들을 농장주가 준수하고 군부대에 의무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했다. 당시까지 양코프스키 농장은 8마리의 종마, 126 마리의 승마용 말을 사육하고 있었다. 특히 미하일은 연해주에 주둔하고 한 연대병력에 군마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하기도 했다.양코프스키반도에 있는 미하일의 농장은 계속 번창했다.
미하일은 주변의 한인이나 중국인들과 접촉하면서 이들로부터 인삼이 귀중한 약재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894년 에는 그의 아들 유리와 함께 한반도 북부를 방문하기도 했다. 미하일은 한인들을 통해 인삼의 재배방법을 배우고 러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양코프스키반도 내 ‘프로세카’라고 불리는 언덕의 한 계곡에 인삼을 재배해 많은 수익을 벌었다. 또한 그는 양코프스키농장에 우수리 꽃사슴을 방목해 해마다 가을이 되면 엄청난 양의 녹용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당시 연해주에는 우수리 지역의 꽃사슴들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었다. 미하일은 꽃사슴들을 주변의 사나운 호랑이나 표범으로부터 보호하고 나아가 사료도 제공했다. 방황하는 새끼 사슴들을 사로잡아 소의 젖을 먹이며 가축으로 사육했다. 때때로 사슴들은 양코프스키반도를 떠나 해협을 건너 타이가의 울창한 삼림 속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에는 밀렵꾼이나 사나운 야생짐승을 피해 다시 양코프스키반도로 되돌아오곤 했다. 미하일은 양코프스키반도 안에서 사슴들을 방목해 키울 수 있도록 지협을 횡단하는 펜스를 설치했다. 그 결과 양코프스키농장의 사슴은 700마리까지 증가했다. 그리고 일명 판두이라고 불리는 부드러운 우수리 꽃사슴의 뿔은 양코프스키 가족에게 엄청난 수익을 안겨주었다. 양코프스키농장이 점점 확대되면서 타이가를 배회하는 무서운 호랑이나 표범, 늑대와 같은 야생짐승으로부터 끊임없이 공격을 받았다. 특히 타이가에 출몰하는 호랑이는 가축은 물론 사람들에게도 커다란 위협이 되었다. 미하일이 농장을 만든지 처음 15년 동안 말 50필 이상 그리고 셀 수 없을 정도의 많은 개와 돼지 그리고 소들이 호랑이에 의해 살육 당했다. 미하일은 자신의 말과 사슴들을 보호하는 과정에서 호랑이를 죽여야만 했다. 뛰어난 사격술 때문에 한국인들에게 네눈이로 알려진 미하일은 점차 시베리아에서 호랑이 사냥꾼으로 명성을 날리기 시작했고 일생을 통해 모두 9마리의 호랑이를 잡았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미하일은 세계 100대 유명 사냥꾼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미하일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들도 호랑이 사냥으로 연해주와 한반도 북부 일대에서 서서히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어느날 미하일이 업무로 농장을 비우는 동안에 암컷 호랑이가 말을 물어 죽인 사건이 발생했다. 곧 목장에 고용된 목동들이 호랑이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미하일의 조수이자 은퇴한 포병하사관인 플라톤 포도로프라고 불리는 몸집이 큰 거인이 이 암컷 호랑이에게 공격을 당했다. 플라톤은 호랑이에 심하게 할퀴고 깊은 상처를 입었다. 호랑이가 표도로프를 안장에서 잡아끌어 내리고 물려고 하는 찰라 다행히도 인근에 있던 미하일의 두 아들 알랙산더와 유리가 이 호랑이를 쏴 죽여 표도로프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미하일은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젊은 시절부터 흥미있게 관찰해 온 연해주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해 많은 글을 발표했다. 그는 아무르지역 탐사 협회지에 “아스콜드 섬”, “호랑이, 표범, 그리고 사슴”, “남우수리 지역에서의 말사육” “아무르만 해안의 고대 패총 발견” 등을 발표했다. 특히 미하일은 원주민들의 생활에도 깊은 관심이 있어 이들의 역사와 발해사에 대한 글도 남겼다. 미하일은 뛰어난 동식물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극동지역에서 자생하는 희귀한 동식물들을 채집해 표본을 만들어 유럽의 여러 박물관과 수집가들에게 제공하기도 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17종류의 나비들이 양코프스키의 이름을 따라 명명되었다. 특히 미하일은 중국, 한국, 그리고 러시아 삼국이 만나는 작은 국경지역인 포시에트 부근의 작은 지역에 분포해 살고 있는 ‘앙코프스키 사초’와 ‘양코프스키 멧새’ 무리를 발견하기도 했다. 한편 농장을 운영하면서 거부를 이룬 미하일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막대한 금액을 희사하기도 했다. 새로이 조직된 아무르지역 탐사협회가 협회의 건물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유력인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자 미하일은 적지 않은 금액을 기증했다. 아직도 블라디보스토크에 남아 있는 아무르지역 탐사협회 명예의 전당에는 협회를 설립할 당시의 발기인 13명의 이름이 적혀 있는데, 이중에는 시베리아 타이가에서 호랑이 사냥꾼으로 유명한 아르세니에프, 고고학자 마르가르토프 등과 함께 미하일 양코프스키의 이름도 남아 있다. 나아가 미하일은 블라디보스토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많은 기념메달을 수여 받았다. 이 중에는 특히 모스크바 영예로운 농업협회의 메달, 그리고 종마 사육의 공로로 메달을 수여 받았다. 또한 두 개의 군사메달이 그에게 부여되었는데, 1904년 러일전쟁의 참전한 공로로 그리고 중국 캠페인에 참전한 대가로 메달이 수여되기도 했다.
미하일은 홍호자들을 추적해 만주 벌판을 누비고 다녔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심한 폐렴에 걸려 많은 고생을 하였다. 그의 건강이 악화됨에 따라 의사들은 미하일에게 건조한 내륙에서 지역에 가서 요양하라고 권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하일은 젊은 여인을 사귀게 되었고 급기야는 장남인 유리와 그의 부인 올가를 시데미에 남겨 놓고 카자흐크탄의 세미팔라틴스크에 집을 짓고 정착했다. 그의 인생 마지막 시기에 시데미반도를 단지 날씨가 온화한 가을철에만 방문하곤 했다. 1912년 미하일은 크림반도의 소치에서 사망해 유언에 따라 그곳에 매장되었다. 1912년 미하일이 죽은 후 양코프스키농장은 장남 유리 가족이 돌보며 번성했다. 그러나 1922년 볼셰비키가 블라디보스토크를 장악하면서 ‘네눈이의 아들’ 유리 양코프스키와 그의 가족 일행은 다른 백계러시아인들과 마찬가지로 볼셰비키를 피해 모든 재산을 포기하고 고향을 떠나야만 했다. 볼셰비키를 피해 한반도로 피난한 난민들 대부분은 곧 다른 지역으로 떠났다. 그러나 미하일의 자손들은 대부분 한반도에 남아 식민지시대 러시아인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에 관한 이야기는 차후 별도의 지면을 빌려 전하고자한다.

2010년 7월 3일 토요일

양코프스키의 일생



볼셰비키를 피해 원산으로 피난한 난민들 대부분은 곧 한반도를 떠났다. 그러나 일부는 한반도에 남아 일생을 보내기도 했다. 이중 대표적인 인물을 든다면 바로 유리 양코프스키 가족일 것이다. 유리 양코프스키의 부친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원래 폴란드 귀족 출신으로 1863년 1월봉기에 참여한 죄로 시베리아로 유배된 인물이다. 고된 강제노동을 마치고 자유의 몸이 된 미하일은 블라디보스토크 남쪽에 위치한 시데미반도에 정착해 농장을 조성하며 거대한 부를 이뤘다. 당시 연해주 지역에는 한인들이 급속도로 이주하고 있었다. 미하일 양코프스키는 연해주 지역 한인들을 농장의 노동자로 고용하고 이들을 악명 높은 마적 홍호자로부터 보호하면서, 한인들의 깊은 존경을 받았다. 뛰어난 사격술 때문에 한국인들에게 ‘네눈이’로 알려진 미하일은 점차 호랑이 사냥꾼으로 명성을 날리기 시작했고, 일생을 통해 모두 9마리의 호랑이를 잡았다고 알려지고 있다. 미하일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들도 호랑이 사냥으로 연해주와 한반도 북부 일대에서 명성을 얻었다. 1912년 미하일이 죽은 후 양코프스키농장은 장남 유리 가족이 돌보며 번성했다.
1922년 늦가을 ‘네눈이의 아들’ 유리 양코프스키와 그의 가족 일행은 다른 백계러시아인들과 마찬가지로 볼셰비키를 피해 모든 재산을 포기하고 고향을 떠나야만 했다. 청진에 도착할 당시 이들이 가진 전 재산은 조그만 토지와 두 채의 오두막집 그리고 마구간으로 사용하는 공터뿐이었다. 이들의 피난생활은 고달프고 험난하기만 했다. 가족들이 모두 나서서 러시아 피자의 일종인 피로키(?), 철물, 등유 등을 마차에 싣고 청진 시내를 돌며 팔았다. 그리고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한 정어리를 구입해 하얼빈으로 보내거나, 건설현장에서 잡역부로 일하고, 나비를 잡아 표본을 만들어 외국의 수집가들에게 팔기도 했다. 일본인이 운영하는 경마장에서 경기가 열리는 날에는 돈을 받고 전문기수로 일하기도 했다.
유리 양코프스키 가족의 피난생활은 우연한 사건을 계기로 크게 변했다. 1925년 여름 양코프스키 가족은 시데미에서 가져온 8마리의 젖소 가운데 단지 한 마리만이 남아 있을 정도로 재산이 거의 바닥난 상태였다. 양코프스키는 청진에서 40킬로미터 떨어진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역 부근 온포지역에 한 일본인 온천장 주인에게 아끼던 자동차마저 팔아야만 했다. 감사의 표시로 온천장의 일본인 주인이 양코프스키 가족을 자신의 휴양소로 초대했다. 이날 밤 일행은 등나무 넝쿨로 감겨 있는 작지만 “낙원 같은” 오두막집에서 보낼 수 있었다. 아름다운 주변 환경에 반한 양코프스키는 인근에 있는 한 한국인이 소유한 집을 여름동안 임대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후에 가까운 친척이자 영화배우 율 브리너의 아버지인 보리스 브리너로부터 돈을 빌려 가옥과 대지를 구입했다. 양코프스키 가족들은 점차 주변 농경지, 과수원, 삼림의 주인이 되었다. 이렇게 해서 일제 강점기 한반도의 대표적 러시아촌인 노비나가 탄생하게 되었다. 원래 노비나는 원래 양코프스키 가문의 문장에 그려진 단검을 의미하는데, 이제는 한국과 일본은 물론 만주, 중국, 유럽과 미국에까지 널리 알려진 휴양지가 되었다. 1928년 여름부터 상하이와 하얼빈의 부유한 백계러시아인들이 양코프스키로부터 가구당 300평으로 조성된 주변 대지들을 구입해 별장을 신축하면서, 노비나는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유리 양코프스키는 노비나에서 남쪽으로 약 18킬로미터 떨어진 함경북도 경성군 염분리 용현리 섬골산 기슭에 새로운 별장지대를 조성했다. 그리고 이 지역을 푸시킨이 지은 시를 인용해 루코모리예로 불렀다. 해안가에 위치한 루코모리예는 노비나보다는 규모가 작았지만 6킬로미터에 이르는 벨벳과 같은 부드러운 황금모래가 해안가에 깔려 있었다. 그리고 모래사장 바로 옆에는 아름다운 해송이 병풍처럼 펼쳐있었다.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반한 부유한 백계러시아인들이 유리로부터 대지를 구입해 이 지역에도 별장을 지었다. 이들 가운데는 보리스 브리너도 있었다.
나라를 잃은 백계러시아인들에게 루코모리예는 지상낙원과 같았다. 루코모리예의 여름철 바닷물은 따스하고 파도도 적어 수영하기에 적합했다. 휴양객들은 아침에는 주로 바닷가에서 수영을 하고 오후가 되면 주변 지역을 관광했다. 루코모리예 해안가 남쪽 낮은 언덕 기슭에는 전형적인 어촌이 있었는데, 이곳에는 어부들이 잡은 정어리를 모래사장에 펼쳐 말리곤 했다. 백계러시아인들은 뱃사장에 누워 바닷바람이 뿌리는 매캐한 냄새에 취하곤 했다. 간혹 주변 어촌에서 아름다운 한국 여인들이 머리에 바구니를 이고 가져오는 새우나 게 등을 사서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수영 후 이들이 주변 마을을 지나가노라면 어린 아이들이 집에서 뛰쳐나와 “야오시키, 야오시키”하며 외쳐 되었다. 한국아이들에게 서양인들은 모두 양코프스키처럼 보인 것이다.
하얼빈과 상하이에 거주하는 백계러시아인들은 물론 일본인들도 노비나를 방문했다. 이들 중에는 시인, 작가 그리고 언론인들은 물론 고위 관료와 군 장성도 있었고 특히 소기 조선총독도 있었다. 그러나 양코프스키 일가가 누구보다도 우정을 느끼고 인간적인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바로 한국인들이었다. 양코프스키 가족들이 접촉한 한국인들은 도시의 관료나 사업가와 같은 세련되고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이 아니라 마을의 보통 사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냥꾼들이었다. 양코프스키 가족들은 사냥을 나가면 한국인들과 함께 김치를 먹고 초가집에서 잠을 자며 함께 생사고락을 같이 했다. 함경산맥의 깊고 험준한 산 속에서 숙련된 한국인 사냥꾼들은 양코프스키 가족에게 친 형제나 다름없었다. 심지어 유리의 장남 발레리 양코프스키는 이들을 아르세니에프의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처럼 한국의 데르수 우잘라로 부르기도 했다.
발레리는 매년 성수기에는 50명 내지 60명에 이르는 여행객들이 노비나에서 그리고 이보다 약간 적은 수의 서양인들이 루코모리예에서 여름을 보냈다고 회상하고 있다. 이곳으로 휴양 온 러시아인들은 사냥이나 등산은 물론 배구나 고로드키(?), 연극이나 시낭송 등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겼다. 특히 노비나에서 약 4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관모봉이 있는데, 여행객들은 관모봉에서 벌목한 목재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협궤철도를 이용해 등산 혹은 사냥여행을 떠나곤 했다. 이외에도 배구는 이들에게 커다란 즐거움을 주었다. 노비나와 루코모리예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각각 팀이 구성되었고, 보통 일요일 미사를 마친 후 경기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매년 시즌 마지막에 노비나컵을 놓고 경쟁하곤 했다. 이외에도 휴양객들은 아마추어 배우가 되어 연극을 무대에 올리곤 했다. 보리스 브리너의 두 번째 부인인 예카테리나는 러시아의 유명한 배우로 노비나에 살면서 아마추어 연극을 연출하고 제작하는데 크게 도움을 주었다.
노비나에 살고 있는 백계러시아인들이 모두 참여한 또 다른 활동 중의 하나는 종교의식이었다. 미사는 매주 러시아정교회 식으로 화려하게 진행되었다. 미사가 끝나고 종교행렬이 시작되면 양코프스키 가족들과 친구들은 교회 벽에 치장된 깃발과 성상들을 떼어내 간단한 예식을 치룬 후 걸어서 인근 온포천까지 내려가 흐르는 강물을 축복했다. 이들의 종교의식은 볼셰비키의 폭정에 대항해 잃어버린 제국을 되찾으려는 일종의 독립선언과 같았다. 백계러시아인들은 미사를 통해 볼셰비키에 대한 적대감과 구국의 꿈을 고취시키며 동지애와 가족애를 다지곤 했다.
유리 양코스프키 가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노비나의 앞날에 서서히 먹구름이 다가오고 있었다. 1938년 8월 중순경 주을 주변에 엄청난 폭우가 내리면서 온포천이 범람하고 다리는 물론 상당수 집들이 파손되었다. 양코프스키 일가도 상당한 재산피해를 입었지만 곧 재기할 수 있었다. 문제는 암울해져가는 국제정세였다. 일본은 북쪽의 만주와 남쪽의 동남아시아 방면으로 제국주의적 침략을 감행하고 있었다. 1938년 중엽 한국, 만주, 그리고 러시아의 국경선이 맞닿는 지역에서 하산호 사건이라고 불리는 국경분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노비나 주변 지역에 등화관제가 실시되었고, 양코프스키 가족을 비롯해 상당수 백계러시아인들이 소련의 간첩으로 취급당하기도 했다. 휴양차 노비나를 방문한 러시아인들의 수도 점차 줄면서 공포가 엄습하기 시작했다. 특히 1941년 일본과 미국 사이에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노비나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의 수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간혹 각종의 여행 규제를 극복하고 노비나를 방문하는 휴양객들도 일부 있었지만 대부분의 여행은 전쟁으로 완전히 중단되었다. 당시 유리 양코프스키 가족은 사슴농장과 사냥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휴양객들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입보다 많았기 때문에, 다행히도 재정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전쟁의 종식은 일제의 식민통치를 끝내고 한반도에 해방을 가져왔다. 그러나 한반도에 거주하고 있던 백계러시아인들에게 종전은 가족의 해체와 긴 고통의 또 다른 시작을 의미했다. 볼셰비키를 피해 한반도로 피신한 양코프스키 일가에게 이제 더 이상 갈 곳이 없었고, 이들은 애써 일군 재산을 다시 잃게 되었다. 1946년 9월 소련군이 노비나에 들어와 남아 있는 모든 사람들을 체포하고 재산을 몰수하면서, 30여년의 노비나 역사는 마침내 막을 내리게 되었다. 1946년 시베리아의 강제수용소로 유배된 유리는 1956년 병과 가난으로 고통 속에 죽었다. 그의 다섯 자녀들의 운명도 북한에 소련군이 진주하면서 크게 바뀌었다. 남한과 미국 등 자유세계로 탈출한 빅토리아나 아르세니는 행복한 삶을 살았지만, 탈출하지 못하고 공산세계에 남아 있던 ‘네눈이 손자’ 발레리는 차디 찬 주오트카의 수용소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며 고통의 나날을 보냈다. 발레리는 짜르의 전제정치, 일제의 식민통치 그리고 공산정권 등 20세기의 다양한 정치체제를 모두 경험한 인물이었다. 2010년 발레리는 99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전 발레리는 한반도에서 지낸 기간이 그의 일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기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2010년 6월 27일 일요일

일제 강점기 한반도에서의 러시아난민들의 일상


일제의 한반도 강점 기간 중에 일어난 한국과 러시아 관계는 오랫동안 베일에 가려져 왔다. 한국과 러시아 관계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들도 한러관계에 마치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은 것처럼 이 시기를 공백상태로 남겨두고 있다. 그러나 근대 한국의 대외관계사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많은 러시아인들이 일시에 한반도를 찾은 중요한 사건이 바로 이 시기에 발생했다. 1920년대 초 한반도는 러시아 연해주지역에서 볼셰비키를 피해 피난 온 러시아난민들의 피난처이었다. 비록 이들 중 상당수는 상하이, 하얼빈, 샌프란시스코 등지로 다시 떠났지만 일부는 그대로 한반도에 남아 식민지시대 러시아인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 글을 식민지 시대 한반도에서의 러시아난민들의 일상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1922년 10월 25일은 시베리아에 파병된 일본군이 연해주에서 철군하는 마지막 예정일이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치적 공백이 발생하고 볼셰비키의 입성이 다가오면서 연해주지역은 일대 혼란에 빠졌다. 연해주지역에서 볼셰비키에 대항하는 백계러시아인들의 전투는 1922년 10월까지 계속되었다. 그리고 이 내란에서 백계러시아군의 주된 병력은 미하일 디테리흐스(Mikhail Diterikhs) 중장이 이끄는 극동군이었다. 1922년 블라디보스토크의 함락 직전 극동군은 4개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볼가군은 극동군 제3단으로 조직되었고, 시베리아군은 제2단으로 조직되었다. 그리고 시베리안 코자크단은 과거 제1단의 남은 병력으로 조직되었다. 그리고 극동군의 제1,2단 일부 병력으로 별도의 극동군이 조직되었다. 1922년 9월 1일까지 전체 극동군은 거의 괴멸당하고 8천 명 정도의 병력만 유지하고 있었다. 그나마 이들 가운데 수백 명이 1922년 10월 13일과 14일의 마지막 전투에서 전사했다. 백군이 연해주에서 후퇴할 당시 대부분의 극동군은 만주지역으로 피신했고, 극동군의 제1, 2단만이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하고 있었다. 한반도로 피신한 백계러시아 난민들은 대부분 극동군에 소속된 병사들과 이들의 가족들이었다.
백계러시아인들의 블라디보스토크 탈출은 1922년 10월 21일부터 시작되었다. 볼셰비키의 입성이 다가오면서 이들은 황급히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야만 했다. 그나마 운이 좋은 사람들은 프랑스제 자동차를 60루블에 팔거나 혹은 보관하고 있던 귀금속을 가지고 피신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난민들은 모든 것을 포기하고 배에 올라야만 했다. 10월 24일 글레보프F.L. Glebov중장이 이끄는 극동군 병사들이 가족들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와 한반도 북부 사이에 위치한 포시에트Pos'et에 도착했다. 곧 이어 레베데프D.A. Lebedev 장군이 이끄는 우랄-헌치맨여단Ural-Huntsmen의 병사와 가족들도 포시에트에 도착했다. 그리고 극동군의 코자크 병사들도 도착해 주력부대에 가담했다. 10월 25일에는 스타크Yu. K. Stark 제독이 해군 병사들과 가족들이 승선한 시베리아함대를 이끌고 포시에트에 도착했다.
이와 같이 대규모 병력과 민간인들이 갑자기 블라디보스토크를 탈출하는 상황에서 극동군 사령관 미하일 디테리흐스 중장은 앞으로의 행로에 대해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스타크 제독은 독자적으로 원산 행을 결정했다. 스타크 제독은 러시아난민들의 피난처로서 한반도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었다. 가장 인접한 중국은 신해혁명 이후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어 군벌들이 지역별로 득세해 러시아난민들을 보호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극동지역에 항구를 가지고 있는 영국 등 일부 서방세력은 모두 백계러시아인들을 수용하길 거부하고 있었다. 미국은 볼셰비키 정권에 반대하고 있었지만 가장 가까운 항구는 마닐라로 포시에트에서 2천마일 이상이나 떨어져 있었다. 반면에 일본은 볼셰비키 정권을 인정하지 않고 백계러시아 지도자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스타크 제독이 자연스럽게 그리고 유일하게 선택할 수 있는 항구는 바로 일본의 식민지로서 포시에트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원산뿐이었다.
1922년 10월 28일 러시아난민들은 시베리아 함대를 포함해 동원 가능한 모든 선박들을 타고 포시에트를 출발했다.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이들을 태울 선박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난민들은 비좁은 배안에 승선할 수밖에 없었다. 날씨는 춥고 음식은 물론 심지어 음료수도 부족해 난민들은 엄청난 고통을 받았다. 높은 파도를 헤치며 원산으로 항해하는 도중 일부는 갑판에서 새우잠을 자야만 했고 심한 격랑 속에서 두 명의 어린이들이 죽기도 했다. 10월 31일 피난선들이 원산에 도착했다. 이후 수차에 걸쳐 난민을 태운 선박들이 계속해 원산에 도착했다. 조선총독부 내무국에서 발행한 露國避難民救護誌에 의하면 1922년 11월 1일 현재 원산항에 도착한 러시아난민의 숫자는 총 7504명이었다. 이들은 부상병이 541명, 해군과 선박 승무원 1221명과 이들의 가족 342명(남 5명, 여 208명, 어린이 129명) 그리고 군인 2830명, 유년학교 생도 307명, 일반 피난민 2263명(남 668명, 여 793명, 어린이 802명)로 대부분은 시베리아 함대 사령관인 스타크 제독이 이끄는 함선을 타고 피난 온 사람들이었다. 1922년의 겨울 한반도로 피난 온 백계러시아인들은 약 9천명에 달했다.
러시아난민을 실은 배들이 원산 앞바다에 도착하자 일본정부는 크게 우려했다. 무엇보다도 중무장한 군인들이 일반 피난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아 한반도에 정치적 군사적 불안을 야기 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일본정부는 난민의 상륙을 허용하지 않고 즉시 다른 지역으로 떠나도록 촉구했다. 한편 배 위에서 상륙을 기다리고 있던 러시아난민들의 건강은 급속히 악화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음료수와 석탄과 같은 긴급한 구조용품이 필요했다. 하루하루가 급박한 상황에서 일본정부는 스타크 제독에게 선박들이 즉시 항구를 떠나는데 사용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물과 석탄을 공급하겠다고 제안했다. 일본정부는 백계러시아의 육군과 해군 병사 그리고 일반 난민에 대해 각기 다른 정책을 채택했다. 일본해역에서 백계러시아 전함의 출현은 볼셰비키정부와 일본정부간의 협상에 커다란 장애가 되기 때문에 일본정부는 가능한 빨리 이들이 일본영해 밖으로 나가 줄 것을 원했다. 한편 일본정부는 지상병력에 대해서는 피난민으로 간주하고 만약 이들이 무장을 해제한다면 상륙을 허가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당시 볼셰비키에 대항해 적의에 불타고 있는 이들의 무장을 해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이들은 곧 전열을 다시 가다듬어 볼셰비키와 일전 불사를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이들은 무엇보다도 무기를 그대로 소지한 채 가급적 러시아에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하기를 원했다. 일본정부는 이들을 한반도에서 해산시켜 만주를 통해 바이칼지역이나 블라디보스토크로 귀환시키길 희망했다. 그러나 당시 중국은 러시아난민 문제에 대해 엄정 중립을 취하고 만주를 통해 난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난민들을 이끌고 있는 스타크 제독은 일본정부의 이러한 소극적 태도에 대응할 수 어떠한 있는 수단도 없었다. 더구나 곧 겨울이 다가와 난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불가피하게 11월 21일 14척의 함선에 약 1970명(해군 약 1500명, 유년학교 생도 335명 및 그 가족 129명)을 분승해 원산을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11월 23일 부산에 도착한 스타크 일행은 일부 선박을 보수한 후 러시아난민을 실은 다른 함선과 합류해 12월 2일 한반도를 떠났다.
스타크 제독 일행이 원산을 떠난 후 원산에 남아 있는 피난민의 수는 5572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주로 지상군 병력들과 이들의 가족이었다. 이중에는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부상자가 500여명이나 있어 이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본정부는 다음해 봄까지 이들이 원산에서 체류하는 것을 허용했다. 따라서 부상자를 포함해 여성과 어린이 등 약 2500명에 대해서는 인도적 견지에서 육지 상륙을 허가하고 원산세관 안에 마련된 임시 창고(제1수용소)에 이들을 수용했다. 반면에 백계러시아 군인들에 대해서는 상륙을 허용하지 않고 잠시 함정 안에 체류하도록 조치했다. 이어 12월에 원산 세관항구 안에 간이 건물 5동을 설치하고 함경남도 문천군 명효면 영흥만에 위치한 국립감화원 영흥학교 소속 건물을 일부 차용해 제2수용소를 설치해 러시아난민들을 수용했다. 제2수용소를 원산에서 떨어진 장소에 설치한 이유는 선박 안은 물론 제1수용소 내에서 이질, 디프테리아, 발진티푸스 등의 전염병 환자가 발생하고 심지어 소아 홍역까지 퍼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을 원산주민으로부터 격리시켜 위생을 지키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였다.
러시아난민들의 수용소 생활은 안락하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인 의식주가 제공되었고 무엇보다도 안전이 보장되었다. 모든 것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난민들은 규칙적인 식사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종교의식을 통해 다소나마 정신적 위안을 찾을 수 있었다. 난민들이 스스로 빵을 만들 수 있는 시설이 수용소 안에 마련되었고, 방안에는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항상 사모바르가 제공되었다. 난민들은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그나마 끼니를 거르지 않고 먹을 수 있었다. 보통 식사 전에는 홍차가 그리고 주식으로는 자신들이 만든 검은 빵 그리고 부식으로 고기와 채소가 제공되었다. 그리고 콩기름과 동물성 기름 등을 사용해 만든 반찬도 제공되었다.
난민들은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러시아 정교회 종교의식을 통해 상호간의 강력한 유대관계와 몰락한 조국에 대한 충성심을 유지할 수 있었다. 난민들은 크리스마스(1월 6일부터 10일)와 부활절(4월 8일) 행사를 철저히 준수했다. 특히 1923년 크리스마스에는 조선총독 부인이 크리스마스트리를 기증하고 애국부인회가 1393개의 위문품 등을 이들에게 기증하기도 했다. 어른들은 파티를 열고 춤을 추며 연극을 공연하고 학생들은 악대를 조직해 행진하기도 했다. 부활절에는 엄숙하게 제사를 거행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매달 적어도 1,2 차례의 종교적인 기념일이 있어 이런 날에는 만사를 제치고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같이 기도하고 식사하며 동질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원산에서의 피난 생활 약 9개월 동안 221명의 백계러시아인들이 사망했다. 연령별로는 5세 미만의 어린이가 160명으로 가장 많았고 주된 사망원인은 주로 폐렴이었다. 이들에 대한 장례식도 러시아 정교회 의식에 따라 성직자들에 의해 거행되었다.
피난민들이 안정을 찾으면서 가장 먼저 고민한 문제는 자녀들의 교육이었다. 일본에서도 이미 1920년 가을에 백계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요코하마에 노국중학교가 그리고 1930년대에는 동경에 푸시킨학교가 문을 열었다. 원산에서도 수용소의 생활이 안정되면서 백계러시아인들의 자녀를 위한 임시학교가 문을 열었다. 영흥만에 있는 제2수용소에는 1922년 12월부터 그리고 원산의 세관항 안에 있는 제1수용소에는 1923년 1월부터 수업이 시작되었다. 임시학교의 교실이 비좁았기 때문에 조선불교연합회 원산지부가 중심이 되어 공사비 2천2백 원을 지원해 42평 규모의 예배당을 신축해 학교로 사용하기도 했다. 약 1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1923년 2월 18일에 건물이 완성되어 2월 27일 개교식이 거행되었고 같은 날부터 수업이 시작되었다. 개교 당시에는 200여명의 학생으로 수업이 시작되었지만, 제2수용소에 있는 학교가 이전해서 합병한 이후에는 전체 학생수가 336명으로 증가했다. 학생들의 학용품은 주로 기부금으로 구입하거나 경성기독교연합회에서 제공하는 기증품으로 충당했다.
수업은 크게 초등과와 중등과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초등과는 8세에서 10세 어린이들을 1-3학급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전체 240명의 학생들이 초등과에 재학했다. 초등과 수업은 오전 8시부터 오전 11시 그리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등 2부제 하루 3시간씩 진행되었다. 수업과목은 종교, 러시아어, 역사, 산수, 박물학, 지리, 영어, 일본어, 대수 등으로 구성되었다. 중등과는 11세에서 16세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4-6급으로 분류해 구성되었고 전체 학생 수는 96명이었다. 중등과 수업은 초등과 수업이 종료된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하루 4시간씩 이루어졌다. 교원은 초등과가 13명 중등과가 17명으로 구성되었다. 교원의 대부분은 러시아난민 중에서 선발했고, 단지 초등과의 영어과목과 일본어과목의 교사만 현지에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 가운데 선발했다. 또한 교실은 예배당으로도 사용되었다. 기도는 매일 오전 6시부터 8시까지 오후 6시부터 8시까지 하루에 2차례 진행되었다. 러시아난민들을 위한 수용소가 1923년 7월말로 폐쇄되었기 때문에 이 임시학교 겸 예배당도 1923년 7월 25일 폐쇄되었다.
일본정부는 피난민들에 대해 약간의 급양금을 지급해 왔다. 그러나 급양금 지급이 1923년 3월말로 중단되자 피난민들은 스스로 자립해야만 했다. 전체 피난민 가운데 610명이 일자리를 신청했고 이중 43명이 직업을 찾았다. 이들이 얻은 주요 일자리 중에는 원산에 살고 있는 한 일본인의 햄 제조공장에 10명(남), 운산금광의 광부 감독 7명(남4, 여3) 경성의 러시아영사관 구제회에서 고용한 구두제조공 7명(남), 원산의 러시아영사관 사무원 6명(남4, 여2), 강원도 농장에서 고용된 3명(남) 등이었다. 이 가운데는 경성에서 일본인과 결혼한 러시아 여성도 있었다.
이외에도 2814명이 노동집단을 조직해 단체로 취업을 희망했다. 이중 1/3 가량이 농업분야에 진출을 원했다. 일본정부는 이들에 대해 장기적이며 영구적인 직종보다는 토목작업과 같이 임시로 일할 수 있는 직업을 알선해 배정했다. 일본정부는 영흥만 제2수용소에서 문천역까지 약 6리에 걸친 도로를 자동차가 다닐 수 있도록 보수하는 공사에 러시아난민 노동자 286명을 배정해서 약 1개월 만에 보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었다. 이어 강원도 철원 지역의 평야를 벼농사가 적합하도록 만드는 철원중앙수리조합공사에 1700명의 러시아난민들이 투입되었다. 처음 도로공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러시아인들은 체격이 좋아 육체노동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철원의 공사실적은 저조했다. 무엇보다도 조선인과 중국인들은 하루 12시간씩 열심히 일하고 비가와도 쉬지 않고 일하는 반면 러시아인들은 단지 하루에 6시간 정도 일하고 종교적 축제 등을 이유로 일을 하지 않아 노동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성진부터 단천까지 함경선 철도 주변의 노선보수 공사에 350명이 참여했다. 이 작업은 철원중앙수리조합공사에 비하면 비교적 성적이 좋은 편이었다. 원래 이런 육체노동은 군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았고 또한 미래도 전혀 보이지 않아 노역에 종사하는 것을 피했고 현장에서 도망가는 사람도 많았다. 무엇보다도 원산 이외의 지역에서 중국인이나 조선인 노동자들에 비해 러시아인들은 노동생산성이 떨어져 직업을 얻기도 어려웠다.
일본정부는 러시아난민들에 대한 급양금 지원을 1923년 3월말로 중단하겠다고 통고했다. 그러나 난민들의 만주지역 통과에 관한 중국과의 협상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자 고향으로 귀환을 희망하는 사람들에 한해 이후에도 6월말까지 약 3개월간 급여를 계속 제공했다. 이러한 가운데 난민들의 미래는 더욱 암울해져 갔다. 1923년 6월 21일 레베데프 소장이 이끄는 700여명의 우랄연대 병력이 엘도라도Eldorado호를 타고 상하이로 떠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소식을 들은 피난민들은 크게 동요했다. 철원과 단천에 파견되어 일하던 피난민들 가운데 일부가 도주하기도 했다. 이에 난민 대표자들은 겨울이 다가오기 전에 피난민의 이송을 완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7월 중순부터 퇴거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7월이 지나도 난민들의 만주통과에 대한 중국 측의 동의를 확보하지 못한 일본정부는 불가피하게 7월 31일 전체 피난민들에 대한 지원금을 중단하고 원산을 떠나 줄 것을 요청했다. 일본정부는 본국으로의 귀환을 원하는 난민들을 일부러 장춘에서 도중하차시키거나 만철과 만주 동부지역 부근에서 도망가도록 그대로 방치했다. 8월 7일 글레보프 중장은 대략 1030명의 난민들을 오호츠크Ohotsk호 등 3척에 싣고 부산과 상하이를 향해 출발했다. 이것으로 원산 난민의 철수는 완료되었다.
스타크 제독, 레베데프 소장, 글레보프 중장은 선단을 구성해 백계러시아 난민들을 데리고 상하이로 떠났다. 러시아인들은 약 9개월이라는 한정된 기간이었지만 원산지역에 임시로 설치된 수용소에 거주하면서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어린 자녀들을 위해 학교 겸 교회가 신축되었고, 원산을 중심으로 조그마한 러시아 사회가 구성되었다. 이들이 떠난 다음 한반도에 남은 러시아인들은 평양, 함흥, 경성 등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면서 각자 힘든 망명생활을 겪어야만 했다.
조선총독부 내무국 조사에 따르면 1926년 9월 1일 현재 한반도에 거주하는 백계러시아인 수는 128명에 달했다. 이들은 대부분 극동군과 우랄연대에 소속된 병사들이었다. 이들을 통해 식민지시대 한반도 외딴 시골까지 춤과 노래 등 러시아 문화의 영향이 폭 넓게 파급되었다. 이들에 대한 기록은 동시대 신문, 소설, 잡지, 시 등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10년 2월 21일 KBS TV를 통해 식민지시대 서민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희귀한 단편 무성영화가 전국으로 방영되었다. 116분 분량의 이 무성영화는 1925년 독일 성 베네딕도회 오틸리엔 연합회 대수도원장인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신부가 한국을 두 번째 방문했을 때 직접 촬영한 것이다. 이 영화에는 원산의 한 학교 교정에서 열린 운동회의 모습이 담겨 있는데 특히 한 소년이 러시아 코자크의 춤을 추는 모습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식민지시대 한반도에 거주한 러시아인들은 한국인들의 북방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백석의 시 그리고 이효석의 소설에는 백계러시아인들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이 수시로 등장하고 있다.
식민지시대 한반도에 거주한 백계러시아인들은 모두 철저한 왕정주의자들이었다. 이들과 볼셰비키와의 관계는 마치 물과 기름 같았다. 1925년 일본이 소비에트정권과 외교를 정상화하고 정동 소련영사관에 볼셰비키 외교관들이 주재하기 시작했지만, 한반도에 거주하는 백계러시아인들은 이들과 관계를 철저히 단절하고 지냈다. 한반도에서 백계러시아인들의 역사는 1945년 해방이 되어 한반도 북부에 소련이 후원하는 김일성 공산정권이 들어오면서 다시 시련을 맞이했고, 우리들의 기억 속에 철저히 사라지게 되었다.

Western Views on Chemulpo

I had a chance to work with Mr. Don Southerton for following book.
Enjoy rare pictures on Chemulpo.
http://chemulpotosongdoibd.com/

2010년 6월 25일 금요일

VI. Conclusion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source of information on Korea available to modern Europe. For practical purposes, the study limited its purview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o records of Jesuit missionaries active in China at the time. Prior to the advent of Hendrick Hamel's famous account, reports published by Matteo Ricci and Nicolas Trigault, Alvaro Semedo, Martino Martini, and Juan de Palafox y Mendoza were the West's exclusive source of information on Korea.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uring their time and for a considerable span thereafter, these reports were widely disseminated and were very popular among Europeans. During the 17th century, these accounts were translated into Latin, Spanish, Portuguese, English, French, German, Italian, Dutch, Swedish, and Danish, in major cites like Rome, London, and Paris. All in all, no fewer than 48 different editions of the accounts are known to exist.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Athanasius Kircher, Voltaire and William Griffis, these accounts were valued as source materials for Western intellectuals interested in Korea and/or seeking to write about Korea.
For the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rimary window to Korea was the military confrontations waged in China and i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reports on the late 16th century Imjin War trickled into Europe via Jesuit missionaries in Japan at the time, China based missionaries were Europe's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Invasion of the Manchu into the Korean Peninsula, the so-called 'Humilitation at Samjeondo,' and Crown Prince Sohyeon's coerced sojournment in Beijing. For the Western missionaries, the Imjin War, albeit fought on Korean soil, was a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ain regional superpowers of China and Japan. Consequently, it was ultimately through the heroism of the Ming expeditionary forces that Korea was spared from the clutches of its mortal enemy.
This notion of Korea's subservience of Korea toward China is also evident in the Jesuit missionaries reports on the Korea situation during the late Ming/early Qing period. As the invading Manchu hordes marched toward the capitol, the desperate Ming Court requested military assistance from Korea, and the Korean Court had no recourse but to comply. However, no sooner had Manchu gained the upper hand, the seemingly opportunistic Korea cowed down to the Manchu. The image of Korea as the consummate subservient irrecoverably clouded the missionaries' assessment of Korea's political disposition.
The missionaries consistently described Korea as being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bservient to China. In particular, Martini was the first westerner to introduce the theory of Gija Joseon to Europe at large. João Rodrigues, a Catholic missionary in Japan, had uncritically accepted the 'Imnailbonbu theory(任那日本府說)' and propagated the notion to other Europeans through his História da Igreja do Japã o, published in the 1620s. It is beyond the purview of this study to add to the debate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Imnailbonbu theory.' It is, however, relevant to note that such theories have been made known to the West much earlier than had previously been thought. Suffice it to say that the Jesuit missionaries wer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West's uncritical acceptance of agenda-ridden propositions that seem to justify the colonialization of Korea, such as those of 'Gija Joseon' and 'Japanese Mimana,' which succeeded in molding the biased perceptions of western books on Korea up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Undoubtedly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ere instrumental in introducing to the Europeans the history, cultu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 special products of Korea. However, as with their brethren in Japan, they were united in their view of Koreans as being secluded and exclusive. They were in fact reinforcing the negativism previously voiced by Guillaume de Rubrouck and Marco Polo in the 13th century.
The one determining factor that weighed heavily in the Jesuit missionaries' conception of Korea was sinocentricism. The missionaries readily accepted the Chinese world view, which placed them a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all peripheral states as being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bordinate to it. These satellite states were naturally thought to be haplessly barbaric, with little in the way of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of the Jesuit missionaries proved to be problematic in two respects: First, the Jesuits accommodated sinocentricism to facilitate their missionary work among the natives, yet later when addressing their European audience through their publications they had to justify their views by trying to convince their readers that the Chinese had the level of history and culture comparable to nothing less than the ancient Roman Empire. Secondly, since the missionaries assumed the infallibility of the Catholic doctrine, they had to reinterpret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ccording to established Catholic norms. The ensuing 'Chinese Rites Controversy' was in fact a clash between sinocentricism and eurocentricism. The Jesuit missionaries inevitably saw the overrun of China by Manchu barbarians as a working out of the Divine Will of God, just as God had fulfilled His will by allowing the Ottoman Turks to bring about the downfall of the Roman Empire.
To be sure, not all Catholic missionaries in China at the time accommodated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For instance, Juan de Palafox y Mendoza rejected the conventional hierarchy of China above Korea and basically regarded both as being equal under the grand Christian world view. However, Mendoza was certainly in the minority. Most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regarded Korea on the basis of a unique multiple world view of sinocentricism and eurocentricism.

V. The Accounts of Juan de Palafox y Mendoz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long with Martini's book, numerous other sources kept Europeans informed about the social turmoil in China at the tim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mong these sources, the Spanish accounts and the Portuguese accounts differ considerable in terms of their views pertaining to the political shifts in the Far Ea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uch as the downfall of the Ming Dynasty and the ensuing rise of the Manchu as the dominant power in the region,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particular, those such as Mendoza and Montanus, who were openly critical of the Jesuits, sought to remedy Europeans' negative conceptions of the Manchu people, as well as of the Koreans.
Palafox y Mendoza, who came from an aristocratic Spanish family, had never personally set foot on Chinese soil. Nevertheless during his tenure as Bishop of Puebla de los Ángeles in Mexico, he was able to receive regular dispatches from Macao and Manila on the China situation up to the end of 1647, which later served as the basis for his Historia de la conquista de la China por el Tartaro (History of the Conquest of China by the Tartars), a fact stipulated by Mendoza in the preface to the book. Interesting enough Mendoza does not acknowledge Martini as a source for his accounts. Given the fact that at the time, Portugal had been granted exclusive rights to conduct mission work in China,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Spanish Mendoza would have harbored some amount of animosity toward the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Despite Mendoza's manifest anti-Jesuit sentiments, his book went a long way in challenging the Europe's established conception of the Chinese people and the Manchu people. If Martini is overtly favorable toward Ming China based on his sinocentric propensities, Mendoza is outspoken in his rebuff of the notion of the 'Middle Kingdom' and does not hide his admiration for the Manchus. In Mendoza's view, the Manchus, in contrast to the Mings, did not stand on ceremony and were not antagonistic toward Westerners. Praising the Manchus for the uncommon valor, Mendoza foresaw that China would be born anew through them. He goes as far as to state, "the Golden age [of European antiquity] was gone from Europe into Tartar." According to Mendoza's assessment, unlike the Japanese, the Manchus, once regarded as barbaric, tended to be much more reasonable and judicial in their treatment of foreigners. Mendoza also sees Emperor Shunzhi as a ruler moderate in character and endowed with abundant virtue.
Mendoza compares the breakup of the Christian nations in Europe in the face of the Islam threat to the Manchu invasion of China and urges the European monarchs to learn from China's mistakes. He reminds them that different peoples (namely the Mongols and the Manchus) had united to overthrow the oppressive Chinese, and chastised Europe's Christians for their petty squabbles even with the Ottoman Turk at the gates. Just as Scipio faced up to reality after Rome defeated the Carthages, Mendoza stipulates that there was a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collapse of China and implores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and Cochin China not to repeat the failures of China. Furthermore, he writes in no uncertain terms that the Emperor and the officialdom of Manchu were considerably more effective in the enforcement of law and order than the European leadership and that they should try to emulate the so-called "barbarians." Clearly Mendoza's assessments were motivated by his God-centered view of history, in lieu of sinocentricism. Thus from his standpoint, nations in the Far East were essentially equal under God. This also serves as basis for his views on Korea.
Mendoza's Historia is comprised of 32 chapters, and the third chapter is devoted to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Mendoza's account seems to augment Martini's own account of the incident. Martini fails to mention the 'Humilitation at Samjeondo,' was well as the Crown Prince Sohyeon's captivity in Beijing. In contrast, Mendoza's i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the 'Humilitation at Samjeondo' is mentioned in a book publish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he Mendoza's account of the incident, the Manchus were able to occupy the greater part of Korea at great cost. The Korean king was well aware that in terms of military strength, Koreans was no match for the Manchus, and in lieu of pointless resistance, he ultimately opted to yield to the aggressors. Confident that he would retain his throne once the Manchus acknowledged Korea as a subject state, the Korean king lay down his crown before the feet of the Manchu emperor. Manchu estimated that faced with an almost impossible situation, the Korean king acted most sagaciously.
The truth be known, Mendoza's account of Korea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 dates of specific events are not accurate, and Mendoza glosses over certain proper names, in the fashion of 'this Korean king' or 'that Korean prince,' apparently in consideration of his novice readers at large. Nevertheless, Mendoza's Historia provides the most comparative factual and insightful rendering of the Korea situation of related books of the period. Mendoza contends that Korea had enjoyed a long history as an independent state, made to pay tribute to China only due to its inferiority in strength. He graciously surmises that Korean King Injo's humiliating submission at Samjeondo was in fact an unavoidable choice of a sagacious leader of a weak country. Throughout his account, Mendoza consistently portrays Korea as a politically independent state nation.
Historia was published in Paris in 1679 in Spanish, after Mendoza's death. The French edition came out in Paris the same year. The English edition was translated from the French edition and published in London in 1671, the second and third edition coming out respectively in 1676 and 1679. For nearly ten years, Mendoza's Historia succeeded in capturing the interest of the Europeans.

IV. The Accounts of Martino Martini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erson most responsible for bridg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East and West was Martino Martini. Martini was born in the northern Italian city of Trent in 1614. Martini was Italian by heritage, but since Trent had at one time been part of the Hapsburg Austria, some sources record him as being of German origin. Martini joined the order in 1623 and studied mathematics under Athanasius Kircher, arguably one of the most brilliant minds of the times, at the Collegio Romano. As soon as he was ordained, Martini requested and was granted permission to be assigned to China. He arrived in Macau in 1643. Ming China, at the time, was in a topsy-turvy state owing to incessant attacks by the Manchu. Nevertheless, Martini managed to personally travel to the inner 7 cities, observing and faithfully recording what he was able to learn about Chinese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In order to defend the position of the Chinese Jesuit order in the so-called "Chinese Rites" controversy and also to muster support for the mission, Martini traveled back to Italy in 1651, and he drafted a series of books during transit. Bellum Tartaricum, Novus Atlas Sinensis, and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were all China books and drew a vivid picture of the chaotic period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Reports on the Ming military involvement in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cluded in the volumes.
Martini's Bellum Tartaricum was published in Antwerp, Cologne, and Vienna in 1654. It was in a mass market format, comparable to today's paperback edition, and was immensely popular. In the preface, Martini states that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1) provide public information on Jesuit mission activities, (2) satisfy Europe's growing interest in Chinese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and (3) provide advertisement for the two upcoming books on China. However, for all means and purposes, Bellum Tartaricum took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on-site report of sort on the decline of the Ming Dynasty and the corresponding rise of the Manchu.
Historically speaking, Bellum Tartaricum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was first to provide Europe with news of the ill fated Korean expeditionary forces of 12 thousand (under General Gang Hong-rip) sent to aid Ming China against its struggle against the Manchu and the ensuing invasion of Korea by Manchu forces. Martini relates that even after the fiasco, the Chinese Emperor sent an envoy to Korea bearing gifts to coax the Korean King to dispatch additional troops. Martini adds that since he left for Europe in 1651, he did not know the result of the war in Korea. In Novus Atlas Sinensis, published in 1655, Martini states that the Koreans rebelled against the occupying Manchu when the latter required Koreans to wear Manchu attire. Despite thi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very little in the way of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respectively in 1627 and 1636. Neither does he mention by name General Gang Hong-rip or Crown Prince Sohyeon. Despite this, Martini's account of the Korean crisis was generally on the mark. Commenting on the warlike disposition of the Korean people (which he qualified was not as poignant as the Japanese), Martini includes an interesting piece of information that the Manchu troops were known to disguise themselves as Koreans when attacking the Ming forces.
Bellum Tartaricum portrays Korea as a tributary state of the Chinese, in every sense of the word. Korea not only dutifully dispatched troops at the Ming China's request but also later survived by the skin of their teeth by sheepishly establishing a new tributary relationship with Manchu, on the proviso that they be allowed to keep their traditional hair style and customs. Martini goes on to add that later when the Manchu reneged on their promise and demanded that Koreans following Manchu hair style and attire, the obstinate and conservative Koreans rebelled, compelling the Manchu to stage another invasion.
Martini's Bellum Tartaricum was aimed at the general populace and was thus relatively short (some 200 pages) and penned in a comfortable writing style. Between 1654 to 1706, it was translated and republished in Latin, French, German, English, Italian, Dutch, Portuguese, Spanish, and Danish. The Latin edition in particular underwent no fewer than 7 printings. By the late 17th century, some 25 versions of the book were in circulation. Such a printing history was unprecedented, considering the pathetic printing conditions at the time. The English edition came out in London in 1654, the same year as the Latin edition. This English edition was published by John Crook, the same John Crook who had published the English edition of Semedo's Imperio de la China. As previously stated, the two books were later combined and published as a single volume by Crook.
English intellectuals such as Robert Howard (1626-98) and John Webb (1611-72) were known to have relied on this book as one of the primary sources of information on China. Martini's Bellum Tartaricum also served as the basis for a dramatic play. During the 1673-1674 season, English playwright Elkanah Settle (1648-1724) is said to have staged a play at Duke's Theatre about a heroic love story based on Martini's book. The play turned out to be a flop; nevertheless, the very fact that such a play was staged in the first place is revealing of the wide recognition of Martini's book among the British and other Europeans at the time.
Almost all editions of the Bellum Tartaricum, including the 1654 Amsterdam first edition, includes a map of China, and each map also includes a rendering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ese, the 1654 London edition is noteworthy because (1) Korea is correctly pictured as a peninsula instead of as an island, (2) in lieu of the customary state designation of 'Chosun,' Korea is marked as 'Corea,' (3) a specific region (namely Kingki, which presumably refers to the modern day Province of Kyonggi) is marked, (4) Jeju Island (known to Europeans at the time as 'Fungma') is not drawn in, and finally (5)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distorted to the point that the lower tip stretched all the way down to Nanjing. Interesting enough, in the 1655 Novus Atlas Sinensis, published barely a year after Bellum Tartaricum, Martini does include Jeju Island in the map.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are likely attributable not so much to Martini's lack of accu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region but rather to poor editing due to his overeagerness to get the book published as expeditiously as possible.
Martini's Novus Atlas Sinensis went a long way in broadening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Asia for Europeans of the time. In 1655 Novus Atlas Sinensis was incorporated into the 6th volume of the famous Dutch cartographer Joan Blaeu's Theatrum Orbis Terrarum, sive, Atlas Novus. This atlas was a scholarly tour de force of current day map-making technolog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Although Martini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he maps of China included in his Bellum Tartaricum, he did personally supervise the production of maps and illustrations included in Joan Blaeu's edition. Whereas the illustrations in the previous book depict the Chinese as mere 'asianized' renderings of western characters, the drawings in the latter book was comparatively more realistic. Until the publication of J. B. B. D'Anville's atlas of Asia in the 18th century, Martini's Novus Atlas Sinensis was widely recognized as the authoritative map of the Far East.
In truth Novus Atlas Sinensis was not based on Martini's own geographical surveys but rather on Luo Hongxian's Guang Yu Tu, arguably the most accurate map of Chinese origin to date, and Matteo Ricci's Kunyu Wanguo Quantu. Novus Atlas Sinensis is composed of a 171 page main section, 81 pages of preface and appendix, a single page inner cover page, and 17 colored maps. Of the colored maps, there are a full page map of China, entitled "Imperii Sinarum Nova Descriptio," and 15 separate detailed maps of major Chinese cities. Also included is a map of Korea and Japan, entitled "Japonia Regnum." In this map, the Korean Peninsula is distorted into an elongated oval and is designated as "Corea." The Peninsula is decorated with geographical icons depicting mountains and two rivers (one marked as "Yalo" for the Yalu River, and the other unmarked but presumed to be the Han River) are clearly identifiable. The eight provinces are marked as "Hienking," "Pinggan," "Kingki," "Kianguen," "Hanghai," "Kingxan," "Chungcing," and "Ciuenlo," following the Chinese pronunciation. The Jeju Island is accurately marked as "Fungma" , based on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Tamna."
Novus Atlas Sinensis can be best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sociology and geology, what in modern terms would be known as the multi-disciplinary field of sociogeology. Martini allots 19 pages of the appendix to cataloguing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major cities and forts, as well as the contents of his conversation with Jacobus Golius, the leading Asian specialist in the Netherlands. The last page of the catalogue includes references to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For Martini, depicting China in terms of specific longitude and latitude proved to be a formidable undertaking. As an ardent proponent of the notion of the 'Middle Kingdom,' Martini was naturally inclined to set Beijing as the latitudinal center of the world. This, however, was in direct contradict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f Greenwich as prime meridian. Martini cunningly circumvents this problem by setting not one but two prime meridians.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provided therein was more detailed and extensive than any other source available at the time. Korea, a peninsula state, borders Manchu (transcribed here as Niuche) at a large river. This much had already been provided in the accounts of Luís Fróis and Richard Hakluyt. Furthermore, while Antonio Carletti does name the 8 provinces that comprise the Korean Peninsula, his manuscript was not publish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In Joan Blaeu's Atlas Novus, Martini provides the correct names of all 8 provinces (according to their pronunciation in Chinese). However, Martini incorrectly lists Pyongyang as the capital city. On an interesting note, Martini explains that the designation 'Corea' was in fact introduced to Europe via Japan, and that the Chinese prefer 'Chaosien' or 'Chaohsien.'
Martini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theory of 'Gija Joseon(箕子朝鮮)' to the West. In truth João Rodrigues, a Jesuit priest in Japan had already made references to Gija Joseon in his manuscript; however, the manuscript was not published during his life time. In Novus Atlas Sinensis, Martini bases his outline of Korean history on Gija Joseon. According to Martini,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dates back as far as 1211 B.C., when Emperor Wu of the Chinese Zhou Dynasty conferred a new stretch of land to his close relative Gija, who subsequently become the founding ruler of Korea. As the story goes, this new kingdom was thereafter referred to as Joseon by later Chinese Han emperors. After the fall of the Han Dynasty, Korea seemed to be released from Chinese control, but later achieved political stability by becoming a tributary state during the Chinese Tang Dynasty. Martini relates that when new Korean rulers assumed the throne, they are obligated to travel to Beijing to pay their respects to the Chinese emperor. Martini also explains that in 1651, during the Chinese Qing Dynasty, Koreans rebelled against the Chinese when they were required to follow Manchu customs and dress. Clearly Martini regards Korean history as an inconsequential side story to Chinese own history. With the exception of Joseon, Martini makes no reference to other earlier Korean dynasties such as Goguryeo, Shilla, Baekje, or Goryeo, preferring to gloss over the names with the all encompassing designation of 'Corea.' Nevertheless Martini's was the first European account to provide an, albeit cursory, overview of Korean history.
Martini also writes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him, the land is so fertile that the Korean people can produce practically everything they need, and there is an abundance of rice and wheat. Korea is particular famous for its pears and pearls, and he also lists ginseng, paper, lacquer ware, and writing brushes as Korean goods particular prized by the Chinese. Gold and silver are in abundance in Korea, and the major cities are teaming with people, although Martini admits he doesn't know exactly how much. Martini surmises that despite (or owing to, as the case may be) its large population and land size, Korea tends not to associate with foreign countries outside China and Japan.
Martini makes reference to Korea's culture and customs. He states that Korea's cities, structure, administration, customs, attire, language, etiquette, and religious practices are similar to those of China. However, he qualifies that Korean women, unlike their Chinese counterparts, frequently appear in the public and customarily travel with their husbands. Furthermore, the youth of Korea are allowed to select their spouses without prior consent of their elders. In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funeral rites of Korea and Japan, Martini writes that Koreans house the tightly bound remains in a beautifully decorated coffin for three years before burial.
Martini's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was published in Munich in 1658. In the book, Martini traces China's ancient history from the time of Noah's flood to the birth of Jesus Christ, more specifica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Emperor Fu Hsi in 2952 B.C. to the middle of the Han Dynasty. Through the book, Martini sought to educate his European readers to the fact that China possessed a cultural history just as long and illustrious as that of Greece or the Ancient Roman Empire, and that China was as much a cradle of civilization as the Biblical Middle East. To be sure, the book was a must read for Europe's China specialists; however, it failed to achieve the notoriety or wide readership enjoyed by Bellum Tartaricum, evidenced by the fact that only two separate Latin editions (Munich in 1658 and Amsterdam in 1659) were ever published.
In providing a multifaceted description of China in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Martini consistently uses the ancient Roman Empire as a frame of reference. He contends that China and the ancient Roman Empire had indeed a lot in common, such as their long history, extensive territorial mass, and manifestation of resplendent culture. Whereas Semedo recognizes Europe's superiority in the areas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tini sees China as having the upper hand in both culture and science. He states that although the Europeans may well be superior in physical terms, the Chinese are nevertheless the more intellectually astute, evidenced by the marvelous achievements in industrial technology, bridge building, and waterway construction. In sum, Martini discerns China to be on at least equal, if not superior, footing to Europe.
Martini's drawing of cultural comparisons between China and the Ancient Roman Empire made for him the decline of the Ming Dynasty all the more unfortunate. Like the Roman Empire in the past, China was now beset and eventually conquered by barbarians. Martini's rather nonchalant reference to China's neighbors as 'barbarians' and his rather farfetched comparisons betwee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Europe and those of China presumably derive from his eagerness to better reflect the tastes of his European readers, thereby facilitating their indoctrination to the realities in China.
Martini's narrative amply reflects his Christian view of history. If his accommodation of sinocentricism stemmed from his sense of pragmaticism, then his view of history was firmly grounded in his devout faith. He believed that the Manchu invasion of China was a fulfillment of nothing less than God's Divine Will. Just as He had brought down the once invincible Roman Empire to spread Catholicism throughout the world, God was doing the same here in China. In Martini's eyes, the Manchu people, as well as their leadership, possessed the tolerance to someday accept Catholicism. In this manner, both Martini and Ricci works exhibit the contradiction of uncritically accommodating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of the Chinese gentry in one hand, yet welcoming the so-called 'barbaric' Manchu people as potential promoters of their mission cause on the other hand.

III. The Accounts of Alvaro Semedo

With the demise of Matteo Ricci, the responsibility of introducing China to Europe passed on to Alvaro Semedo. Born in Portugal in 1585, Semedo joined the Jesuit Order in 1602. From his arrival in China in 1613 to his death in 1658, Semedo spent some 45 years engaged in missionary work there. He had travelled extensively throughout the southern and northern provinces, eventually mastering the Confucian classic texts, a feat that few foreigners in China at the time were able to equal. Adopting Ricci's policy of accommodation, Semedo sought to spread Catholicism in China by making full use of the indigenous Confucian culture. In 1625, Semedo travelled to Xi'an where he was able to personally peruse and later introduce to the West the recently discovered Nestorian Stele.
In 1636, the Chinese Jesuit Order dispatched Semedo to Rome. Semedo was tasked with the recruitment of new Jesuit missionaries to China, procurement of funding for the mission, and most significantly, the publication of books on China. Semedo left Macao in 1637, arriving in Goa in 1637, and finally reaching Lisbon in 1640. During the long journey Semedo was able to pen the first draft of a personal account of conditions in China, later published under the title Imperio de la China. At the time Semedo embarked on his journey back to Europe, the invasion of the Manchu was in full swing, and Semedo was able to carry back valuable information on the political turmoil engulfing China at the time. Since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as based not only on available western books on China but also on his own empirical knowledge, the book was soon recognized as the primary source on China for Europeans.
Semedo's book was published in tabloid size totalling 362 pages, and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comprising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total length of the book, was composed of 31 chapters. It is devoted to introducing a variety of facets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uch as its geography, customs,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science, state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for high level officials, military weapons, form of government, prison system, court system, etc. The second section, presented in 13 chapters, delineates the history of the Jesuit mission in China, since it humble beginnings under Xavier. Semedo's underlying stance regarding Chinese history and culture deviates little from that of Ricci before him. He openly challenges the hitherto binary view of Chinese culture as being antithetical to that of Europe, and argues that rather than being savage, it boasted a cultural refinement that rivaled any nation in Europe. Semedo reports on the opulent life of the affluent, living in comfortable mansions and enjoying the amenities of civilization. Semedo does add that due to chronic overpopulation, the majority of the people lived in poverty. In terms of scientific capability, although lacking the systematic mind of Aristotle, Plato, and other Western philosophers, the Chinese exhibited a high degree of expertise in government and policy. One must keep in mind that Semedo's seemingly excessive adoration of China was due to a large measure to the fact that Imperio de la China was published to solicit further support from the Vatican and other European states.
In Semedo's Imperio de la China, reference to Korea is limited to four topics: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Chinese civil strife during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Korea's paying of tribute to China, and the introduction of ginseng. Semedo recalls his encounter with Joãn Rodrigues, who was leading a contingent of mercenaries from Macao to help the Ming forces repel the invading Manchu forces. Rodrigues confided in Semedo that he had travelled to numerous major cities throughout China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wa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Rodrigues was a long resident of Japan, having served as Toyotomi Hideyoshi's translator, and was also the author of História da Igreja do Japã o. Rodrigues was one of the few westerns of the time to possess first hand knowledge of the Imjin War and also of the Chinese political turmoil of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n 1631, Rodrigues made a failed attempt to enter the Korean Peninsula, aided by Chung Du-won, who was in China as a special envoy from the Korean court.
Semedo's account of the Imjin War is basically a repeat of Ricci's earlier account. Semedo reports on the war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hina's subsequent adoption of an isolation policy, and the Jesuit‘s position on the war. The Japanese forces "swarme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oward the Chinese mainland"; however, "In 1596(Semedo mis-records the year of the war's end to be 1596 rather than 1598), it was the Chinese forces, not the Korean forces, that had succeeded in repelling the Japanese." Semedo makes much of Japanese losses, emphasizing Chinese role while downplaying Korea's military feats. Semedo goes on to report that he reached Nanjing with the assistance of the Chinese general, a veteran of the Imjin War, only to find the Chinese engulfed by war fervor and antagonism toward all foreigners. Like Ricci, Semedo is genuinely concerned about the adverse effects of the Imjin war on missionary efforts in China. Even when the Jesuit missionaries arrived in Beijing, the mood of national crisis was such that they were unable to procure an audience with the Chinese Emperor. On this backdrop, it is understandable that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ould have little positive to say about Korea. In Semedo's eyes, Korea was an insignificant military power, plagued by self defeatism. It was a quintessential satellite state that lacked an orignal culture, as well as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Korea's image as a peripheral political presence is further enforced in Semedo's observations on Korea's toadyish diplomatic maneuvers. Semedo relates that when Manchu demanded that Korea now pay tribute to them, as they had to the Chinese Ming Dynasty in the past, Korea initially stubbornly clang to its past allegiance to Ming China.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emedo seemed to have some working knowledge of nuts and bolts of the tributary trade system. For example, Semedo explains that the Muslim states send a tributary mission to China every three to five years; however, the mission is in fact comprised of profit motivated merchants, without the knowledge or mandate of the Muslim royal court. In one instance, Semedo reports, the envoy from Saracen tendered to the Chinese emperor a tribute amounting to seven thousand crowns in their home nation, receiving in response a royal gift worth fifty thousand crowns. Although Semedo does not make direct reference to Korea's tributary relationship with China, he was astute enough to understand how China was inter-locked with neighboring states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and how the merchants were reaping monetary gains from this relationship. This level of insight notwithstanding, Semedo nevertheless parrots the other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in seeing Korea and others in the region as little more than satellites of China, lacking economical and cultural independence.
Semedo was one of the first westerns to talk about ginseng. He believes in the excellent medicinal properties of ginseng and reports that it was such a sought after commodity among the Chinese that it was worth twice its weight in silver. However, in naming the Liaotung (Yodong) Peninsula as the primary region of ginseng production, it seemed that Semedo was not privy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ginseng consumed in China at the time were actually produced in Korea.
Semedo's original manuscript was in Portuguese, and while he was traveling in Lison and Madrid in 1642, he got it published in Portuguese under the title Relagao. At the time, however, books published in Portuguese enjoyed a rather limited readership, and consequently Portuguese historian Manuel de Faria I Sousa translated the book into Spanish and published it as Imperio de la China in 1642. The Italian edition and the French edition soon followed respectively in 1643 and 1645. The English edition was published in London in 1655. This English edition is notable in that it was combined into a single volume with the English edition of Martino Martini's Bellum Tartaricum. This combined edition was particularly well received by the English speaking readership. Although it is unclear who translated Semedo's work into English, the illustrations and maps of China newly included in this edition were for the most part taken from Samuel Purchas' 1625 London edition. The London publishers marketed the book as promoting trade and knowledge of foreign countries.
Like Matteo Ricci and Nicolas Trigault's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uscepta ab Societate Jesu,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as also translated into numerous languages. Be it as it may, Semedo's book was not as well disseminated.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is is that Europeans at the time were hungry for the latest news of China, and Martino Martini's Bellum Tartaricum, which made direct references to the downfall of the Ming Dynasty, soon followed in the tracks of De Christiana expeditione, to eventually become a steady bestseller in the 1650s and the 1660s. Despite this, the contributions of Semedo's book in providing Europeans with news on China and Korea in the 17th century cannot be overlooked. Leading thinkers of the time such as Athanasius Kircher and Gottfried Wilhelm Leibniz cite passages from Semedo's book, and representative English writers of the time such as John Webb (1611-72), Thomas Brown (1662–1704), William Temple (1628-99), and Samuel Pepys (1633–1703) are known to have formulated their conception of China through this book.

II. The Accounts of Matteo Ricci and Nicolas Trigault

In mid 17th century the process by which information on Korea was introduced and incorporated into the basic reservoir of knowledge in Europe during the early modern era underwent a significant shift. Up to the mid 17th century, Spain and Portugal, which had emerged as major powers in Europe in the wake of the Great Sea Age, concentrated their economic might in lending support to Catholic nations against the Protestants and in expanding the Catholic sphere of influence into Asia and the American continent. In particular, Jesuit missionaries, backed by the Vatican and the Portugal court, conducted extensive missionary work in Japan and China. To their credit, the Jesuit missionaries were quick to pick up the local vernacular and endeavored to acquire working knowledge of the indigenous culture.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these missionaries,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found themselves in the middle of momentous regional events, such as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social turmoil of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Consequently, they in due course became Europe's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Far East at the time. Their missionary venture into the Far East started with Japan, and the Jesuit missionaries in Japan were the first to provide Europe with information on Korea. Since the mid 16th century, Luis Frois, and other Jesuit missionaries stationed in Japan, regularly included information on Korea in their correspondences back home. These letters were subsequently collected and included in Richard Hakluyt's The Principall Navigations between 1598 and 1600 and in Luis de Guzman's Historia de las Missiones in 1601. At a time when materials on Korea were few and far between, these collection of letters served as an encyclopedia of sort on Korea for interested European intellectuals of the time. However, in 1614, the Jesuit missionaries in Japan were expelled from the island nation, and Catholic missionary work was outlawed. This effectively closed that window on Korea for the Europeans. With the advent of the 17th century, the Jesuit's missionary efforts in the Far East shifted from Japan to mainland China. Arguably the one person most instrumental in introducing China to Europ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the Jesuit missionary Matteo Ricci. Ricci was blessed with a brilliant mind, being one of very few Europeans of the time to able not only to converse in Chinese but also to read and grasp the wisdom of the Chinese classics. Armed with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of the West (exemplified in Kunyu Wanguo Quantu and his translation of books of Geometry by Euclide), Ricci vigorously championed the so called "policy of accommodation" in furthering the missionary agenda. In addition, Ricci personally authored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pecifically to introduce Chinese history and culture to Europeans. This work went a long way to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Ricci's work effectively superceded Juan Gonzales de Mendoza's Historia de las cosas más notables, ritos y costumbres del gran reyno de la China (the English version published in 1588 under the title The History of the Most Notable Rites and Customs of the Great Monarchy of China) as the authoritative book o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lbeit to a lesser degree, Ricci's work also served as an introduction to Korea as well. From 1608, Superior General of the Society of Jesus Claudio Aquaviva commissioned Ricci to author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uscepta ab Societate Jesu (About Christian expeditions to China undertaken by the Society of Jesus), ostensively to muster financial as well as human resource support in Europe for the mission in China. By the time of his death in Beijing in May 11, 1610, Ricci had all but completed the draft of the work. Immediately following Ricci's death, his successor Nicholas Longobardi (1565-1655) succeeded in detaching the Chinese mission from the auspices of the Japanese mission and in getting Ricci's manuscripts published in Europe to rally support for the Chinese mission. To this end, he dispatched to Europe Nicolas Trigault (1577-1628), particularly astute in Latin. In Feb. 9, 1613, Trigualt left Macao, arriving in Rome in October of the following year. Apparently Trigualt made good use of the lengthy transit time, for by the time he arrived in Rome, he had transformed Ricci's crude script in Italian to a more refined Latin translation. The Latin version of Ricci's manuscript was finally published in Amsterdam in 1615. Since then, numerous translations of the 645 page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uscepta ab Societate Jesu appeared throughout Europe, solidifying its status as the authoritative book o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original Latin edition underwent reprinting in 1616, 1617, 1623, and 1648. The French edition was reprinted in Lyon in 1616, 1617, and 1618; the German edition came out in Augsbourg in 1615 and 1617; the Spanish edition was published in Seville and Rima in 1631; and the Italian edition was published in Naples in 1622. Most notably, British writer Samuel Purchas, one of the harshest critics of the Jesuits at the time, translated into English portions of Ricco's book and included it in his own sea voyage books published in London in 1625. The fact that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uscepta ab Societate Jesu was translated into no fewer than 6 languages within a decade of its initial publication, speaks to its enormous popularity among Europeans at the time. Portions of the book relating to Korea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written by Ricci and those later augmented by Trigualt. Ricci's contribution is mainly limited to accounts of the difficulties confronted by the Jesuit mission in China in the wak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realistic terms, Ricci describes the brewing animosity of the Chinese against all foreigners, kindled by the recent Japanese treat. In truth, Ricco's account portrays Korea as a tributary state of China, haplessly inept in defending itself from the Japanese aggressors, and having to rely completely on the intervention of the powerful Chinese. The dread of war voiced by Ricci was shared by other Jesuit missionaries well into the next century. Ricci recalls that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rumors became rampant among the Chinese populace that the Jesuit missionaries, allied with the Portuguese, the Dutch, and the Japanese, were planning to use Macao as a staging area to spread out into mainland China to ultimately exterminate the Chinese altogether. This was the direct cause for the murder of Francesco Martinez in 1606. Naturally, Ricci sees Japan's recent flaunting of its imperialistic ambitions as being antithetical to the Jesuit cause in China. In sharp contrast to Ricci's views, the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Japan did not necessarily see Japan's invasion of Korea in a negative light. A case in point is the personal accounts by Jesuit priest Gregorio de Céspedes, who accompanied the Japanese forces into Korea, thus becoming the first Jesuit to tread on Korean soil. It is clear that the Jesuit missionaries in Japan were anxious to use the military crisis to spread Catholicism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contrast, their brethren in China mainly saw the war as a potential hindrance to their missionary efforts among the Chinese. In the opening chapter, which is for all means and purposes Trigualt's introduction to the book, there are ample hints as to how the Jesuits viewed the delicate relatio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Trigualt, all state nations in the Far East were within the Chinese cultural sphere of influence, evidenced by Korea and Japan's use of Chinese character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spoken languages, Chinese characters provided the three states with the means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terms of the degree of reliance on Chinese culture, however, Trigualt identifi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He reports that whereas the Japanese had independently developed their own alphabet system comparable to those of the European languages allowing the people to communicate in their own written language irrespective of the Chinese characters, whether the Korean could boast the same was yet to be determined. Trigualt did state that Korean had adopted the Chinese legal system, was a close trading partner with China, and was clearly more dependent on Chinese culture than were the Japanese. Trigualt's reportage of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in line with Ricci's own observations, relating the Chinese people's general enthusiastic reception of the news of China's victory over Japan and the subsequent demise of Hideyoshi. Interestingly Trigualt also reports that due to the war, the Chinese relations with Korea had disintegrated, resulting in the complete breakdown of exchange between the two. As an example, Trigualt explains that the only foreigner that he was able to encounter during that time was a Korean female slave brought home by a Chinese general from the Imjin War. Foreigners were strictly prohibited from trading with the Chinese and entered the country without prior permission at their own peril. Those who did manage to get in were not allowed to leave the country. Any Chinese subject coming into contact with foreigners without the emperor's stated permission was liable for harsh punishment. Trigualt is openly critical of Chinese exclusionist policy which was overtly hostile not only to its enemy states but also to neighboring allies like Korea. The Jesuit's acceptance of the middle nation mentality of the Chinese is also evident in Ricci's World Map of 1602. Ricci places China at the center of the map and distortedly assigns Korea and other nations to its peripheral. In the eyes of Ricci and Trigualt, Korea in the early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a hapless tributary state of China, which did not possess an independent culture nor the strength to effectively foil foreign aggression on its own.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not actually a war between Korea and Japan, but a war between the two powerful states of China and Japan. In this vein, it was ultimately China, not Korea, who was victorious over the Japanese aggressors. III. The Accounts of Alvaro Semedo With the demise of Matteo Ricci, the responsibility of introducing China to Europe passed on to Alvaro Semedo. Born in Portugal in 1585, Semedo joined the Jesuit Order in 1602. From his arrival in China in 1613 to his death in 1658, Semedo spent some 45 years engaged in missionary work there. He had travelled extensively throughout the southern and northern provinces, eventually mastering the Confucian classic texts, a feat that few foreigners in China at the time were able to equal. Adopting Ricci's policy of accommodation, Semedo sought to spread Catholicism in China by making full use of the indigenous Confucian culture. In 1625, Semedo travelled to Xi'an where he was able to personally peruse and later introduce to the West the recently discovered Nestorian Stele. In 1636, the Chinese Jesuit Order dispatched Semedo to Rome. Semedo was tasked with the recruitment of new Jesuit missionaries to China, procurement of funding for the mission, and most significantly, the publication of books on China. Semedo left Macao in 1637, arriving in Goa in 1637, and finally reaching Lisbon in 1640. During the long journey Semedo was able to pen the first draft of a personal account of conditions in China, later published under the title Imperio de la China. At the time Semedo embarked on his journey back to Europe, the invasion of the Manchu was in full swing, and Semedo was able to carry back valuable information on the political turmoil engulfing China at the time. Since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as based not only on available western books on China but also on his own empirical knowledge, the book was soon recognized as the primary source on China for Europeans. Semedo's book was published in tabloid size totalling 362 pages, and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comprising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total length of the book, was composed of 31 chapters. It is devoted to introducing a variety of facets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uch as its geography, customs,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science, state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for high level officials, military weapons, form of government, prison system, court system, etc. The second section, presented in 13 chapters, delineates the history of the Jesuit mission in China, since it humble beginnings under Xavier. Semedo's underlying stance regarding Chinese history and culture deviates little from that of Ricci before him. He openly challenges the hitherto binary view of Chinese culture as being antithetical to that of Europe, and argues that rather than being savage, it boasted a cultural refinement that rivaled any nation in Europe. Semedo reports on the opulent life of the affluent, living in comfortable mansions and enjoying the amenities of civilization. Semedo does add that due to chronic overpopulation, the majority of the people lived in poverty. In terms of scientific capability, although lacking the systematic mind of Aristotle, Plato, and other Western philosophers, the Chinese exhibited a high degree of expertise in government and policy. One must keep in mind that Semedo's seemingly excessive adoration of China was due to a large measure to the fact that Imperio de la China was published to solicit further support from the Vatican and other European states. In Semedo's Imperio de la China, reference to Korea is limited to four topics: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Chinese civil strife during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Korea's paying of tribute to China, and the introduction of ginseng. Semedo recalls his encounter with Joãn Rodrigues, who was leading a contingent of mercenaries from Macao to help the Ming forces repel the invading Manchu forces. Rodrigues confided in Semedo that he had travelled to numerous major cities throughout China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wa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Rodrigues was a long resident of Japan, having served as Toyotomi Hideyoshi's translator, and was also the author of História da Igreja do Japã o. Rodrigues was one of the few westerns of the time to possess first hand knowledge of the Imjin War and also of the Chinese political turmoil of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n 1631, Rodrigues made a failed attempt to enter the Korean Peninsula, aided by Chung Du-won, who was in China as a special envoy from the Korean court. Semedo's account of the Imjin War is basically a repeat of Ricci's earlier account. Semedo reports on the war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hina's subsequent adoption of an isolation policy, and the Jesuit‘s position on the war. The Japanese forces "swarme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oward the Chinese mainland"; however, "In 1596(Semedo mis-records the year of the war's end to be 1596 rather than 1598), it was the Chinese forces, not the Korean forces, that had succeeded in repelling the Japanese." Semedo makes much of Japanese losses, emphasizing Chinese role while downplaying Korea's military feats. Semedo goes on to report that he reached Nanjing with the assistance of the Chinese general, a veteran of the Imjin War, only to find the Chinese engulfed by war fervor and antagonism toward all foreigners. Like Ricci, Semedo is genuinely concerned about the adverse effects of the Imjin war on missionary efforts in China. Even when the Jesuit missionaries arrived in Beijing, the mood of national crisis was such that they were unable to procure an audience with the Chinese Emperor. On this backdrop, it is understandable that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ould have little positive to say about Korea. In Semedo's eyes, Korea was an insignificant military power, plagued by self defeatism. It was a quintessential satellite state that lacked an orignal culture, as well as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Korea's image as a peripheral political presence is further enforced in Semedo's observations on Korea's toadyish diplomatic maneuvers. Semedo relates that when Manchu demanded that Korea now pay tribute to them, as they had to the Chinese Ming Dynasty in the past, Korea initially stubbornly clang to its past allegiance to Ming China.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emedo seemed to have some working knowledge of nuts and bolts of the tributary trade system. For example, Semedo explains that the Muslim states send a tributary mission to China every three to five years; however, the mission is in fact comprised of profit motivated merchants, without the knowledge or mandate of the Muslim royal court. In one instance, Semedo reports, the envoy from Saracen tendered to the Chinese emperor a tribute amounting to seven thousand crowns in their home nation, receiving in response a royal gift worth fifty thousand crowns. Although Semedo does not make direct reference to Korea's tributary relationship with China, he was astute enough to understand how China was inter-locked with neighboring states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and how the merchants were reaping monetary gains from this relationship. This level of insight notwithstanding, Semedo nevertheless parrots the other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in seeing Korea and others in the region as little more than satellites of China, lacking economical and cultural independence. Semedo was one of the first westerns to talk about ginseng. He believes in the excellent medicinal properties of ginseng and reports that it was such a sought after commodity among the Chinese that it was worth twice its weight in silver. However, in naming the Liaotung (Yodong) Peninsula as the primary region of ginseng production, it seemed that Semedo was not privy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ginseng consumed in China at the time were actually produced in Korea. Semedo's original manuscript was in Portuguese, and while he was traveling in Lison and Madrid in 1642, he got it published in Portuguese under the title Relagao. At the time, however, books published in Portuguese enjoyed a rather limited readership, and consequently Portuguese historian Manuel de Faria I Sousa translated the book into Spanish and published it as Imperio de la China in 1642. The Italian edition and the French edition soon followed respectively in 1643 and 1645. The English edition was published in London in 1655. This English edition is notable in that it was combined into a single volume with the English edition of Martino Martini's Bellum Tartaricum. This combined edition was particularly well received by the English speaking readership. Although it is unclear who translated Semedo's work into English, the illustrations and maps of China newly included in this edition were for the most part taken from Samuel Purchas' 1625 London edition. The London publishers marketed the book as promoting trade and knowledge of foreign countries. Like Matteo Ricci and Nicolas Trigault's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suscepta ab Societate Jesu, Semedo's Imperio de la China was also translated into numerous languages. Be it as it may, Semedo's book was not as well disseminated.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is is that Europeans at the time were hungry for the latest news of China, and Martino Martini's Bellum Tartaricum, which made direct references to the downfall of the Ming Dynasty, soon followed in the tracks of De Christiana expeditione, to eventually become a steady bestseller in the 1650s and the 1660s. Despite this, the contributions of Semedo's book in providing Europeans with news on China and Korea in the 17th century cannot be overlooked. Leading thinkers of the time such as Athanasius Kircher and Gottfried Wilhelm Leibniz cite passages from Semedo's book, and representative English writers of the time such as John Webb (1611-72), Thomas Brown (1662–1704), William Temple (1628-99), and Samuel Pepys (1633–1703) are known to have formulated their conception of China through this book. IV. The Accounts of Martino Martini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erson most responsible for bridg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East and West was Martino Martini. Martini was born in the northern Italian city of Trent in 1614. Martini was Italian by heritage, but since Trent had at one time been part of the Hapsburg Austria, some sources record him as being of German origin. Martini joined the order in 1623 and studied mathematics under Athanasius Kircher, arguably one of the most brilliant minds of the times, at the Collegio Romano. As soon as he was ordained, Martini requested and was granted permission to be assigned to China. He arrived in Macau in 1643. Ming China, at the time, was in a topsy-turvy state owing to incessant attacks by the Manchu. Nevertheless, Martini managed to personally travel to the inner 7 cities, observing and faithfully recording what he was able to learn about Chinese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In order to defend the position of the Chinese Jesuit order in the so-called "Chinese Rites" controversy and also to muster support for the mission, Martini traveled back to Italy in 1651, and he drafted a series of books during transit. Bellum Tartaricum, Novus Atlas Sinensis, and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were all China books and drew a vivid picture of the chaotic period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Reports on the Ming military involvement in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cluded in the volumes. Martini's Bellum Tartaricum was published in Antwerp, Cologne, and Vienna in 1654. It was in a mass market format, comparable to today's paperback edition, and was immensely popular. In the preface, Martini states that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1) provide public information on Jesuit mission activities, (2) satisfy Europe's growing interest in Chinese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and (3) provide advertisement for the two upcoming books on China. However, for all means and purposes, Bellum Tartaricum took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on-site report of sort on the decline of the Ming Dynasty and the corresponding rise of the Manchu. Historically speaking, Bellum Tartaricum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was first to provide Europe with news of the ill fated Korean expeditionary forces of 12 thousand (under General Gang Hong-rip) sent to aid Ming China against its struggle against the Manchu and the ensuing invasion of Korea by Manchu forces. Martini relates that even after the fiasco, the Chinese Emperor sent an envoy to Korea bearing gifts to coax the Korean King to dispatch additional troops. Martini adds that since he left for Europe in 1651, he did not know the result of the war in Korea. In Novus Atlas Sinensis, published in 1655, Martini states that the Koreans rebelled against the occupying Manchu when the latter required Koreans to wear Manchu attire. Despite thi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very little in the way of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respectively in 1627 and 1636. Neither does he mention by name General Gang Hong-rip or Crown Prince Sohyeon. Despite this, Martini's account of the Korean crisis was generally on the mark. Commenting on the warlike disposition of the Korean people (which he qualified was not as poignant as the Japanese), Martini includes an interesting piece of information that the Manchu troops were known to disguise themselves as Koreans when attacking the Ming forces. Bellum Tartaricum portrays Korea as a tributary state of the Chinese, in every sense of the word. Korea not only dutifully dispatched troops at the Ming China's request but also later survived by the skin of their teeth by sheepishly establishing a new tributary relationship with Manchu, on the proviso that they be allowed to keep their traditional hair style and customs. Martini goes on to add that later when the Manchu reneged on their promise and demanded that Koreans following Manchu hair style and attire, the obstinate and conservative Koreans rebelled, compelling the Manchu to stage another invasion. Martini's Bellum Tartaricum was aimed at the general populace and was thus relatively short (some 200 pages) and penned in a comfortable writing style. Between 1654 to 1706, it was translated and republished in Latin, French, German, English, Italian, Dutch, Portuguese, Spanish, and Danish. The Latin edition in particular underwent no fewer than 7 printings. By the late 17th century, some 25 versions of the book were in circulation. Such a printing history was unprecedented, considering the pathetic printing conditions at the time. The English edition came out in London in 1654, the same year as the Latin edition. This English edition was published by John Crook, the same John Crook who had published the English edition of Semedo's Imperio de la China. As previously stated, the two books were later combined and published as a single volume by Crook. English intellectuals such as Robert Howard (1626-98) and John Webb (1611-72) were known to have relied on this book as one of the primary sources of information on China. Martini's Bellum Tartaricum also served as the basis for a dramatic play. During the 1673-1674 season, English playwright Elkanah Settle (1648-1724) is said to have staged a play at Duke's Theatre about a heroic love story based on Martini's book. The play turned out to be a flop; nevertheless, the very fact that such a play was staged in the first place is revealing of the wide recognition of Martini's book among the British and other Europeans at the time. Almost all editions of the Bellum Tartaricum, including the 1654 Amsterdam first edition, includes a map of China, and each map also includes a rendering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ese, the 1654 London edition is noteworthy because (1) Korea is correctly pictured as a peninsula instead of as an island, (2) in lieu of the customary state designation of 'Chosun,' Korea is marked as 'Corea,' (3) a specific region (namely Kingki, which presumably refers to the modern day Province of Kyonggi) is marked, (4) Jeju Island (known to Europeans at the time as 'Fungma') is not drawn in, and finally (5)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distorted to the point that the lower tip stretched all the way down to Nanjing. Interesting enough, in the 1655 Novus Atlas Sinensis, published barely a year after Bellum Tartaricum, Martini does include Jeju Island in the map.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are likely attributable not so much to Martini's lack of accu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region but rather to poor editing due to his overeagerness to get the book published as expeditiously as possible. Martini's Novus Atlas Sinensis went a long way in broadening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Asia for Europeans of the time. In 1655 Novus Atlas Sinensis was incorporated into the 6th volume of the famous Dutch cartographer Joan Blaeu's Theatrum Orbis Terrarum, sive, Atlas Novus. This atlas was a scholarly tour de force of current day map-making technolog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Although Martini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he maps of China included in his Bellum Tartaricum, he did personally supervise the production of maps and illustrations included in Joan Blaeu's edition. Whereas the illustrations in the previous book depict the Chinese as mere 'asianized' renderings of western characters, the drawings in the latter book was comparatively more realistic. Until the publication of J. B. B. D'Anville's atlas of Asia in the 18th century, Martini's Novus Atlas Sinensis was widely recognized as the authoritative map of the Far East. In truth Novus Atlas Sinensis was not based on Martini's own geographical surveys but rather on Luo Hongxian's Guang Yu Tu, arguably the most accurate map of Chinese origin to date, and Matteo Ricci's Kunyu Wanguo Quantu. Novus Atlas Sinensis is composed of a 171 page main section, 81 pages of preface and appendix, a single page inner cover page, and 17 colored maps. Of the colored maps, there are a full page map of China, entitled "Imperii Sinarum Nova Descriptio," and 15 separate detailed maps of major Chinese cities. Also included is a map of Korea and Japan, entitled "Japonia Regnum." In this map, the Korean Peninsula is distorted into an elongated oval and is designated as "Corea." The Peninsula is decorated with geographical icons depicting mountains and two rivers (one marked as "Yalo" for the Yalu River, and the other unmarked but presumed to be the Han River) are clearly identifiable. The eight provinces are marked as "Hienking," "Pinggan," "Kingki," "Kianguen," "Hanghai," "Kingxan," "Chungcing," and "Ciuenlo," following the Chinese pronunciation. The Jeju Island is accurately marked as "Fungma" , based on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Tamna." Novus Atlas Sinensis can be best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sociology and geology, what in modern terms would be known as the multi-disciplinary field of sociogeology. Martini allots 19 pages of the appendix to cataloguing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major cities and forts, as well as the contents of his conversation with Jacobus Golius, the leading Asian specialist in the Netherlands. The last page of the catalogue includes references to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For Martini, depicting China in terms of specific longitude and latitude proved to be a formidable undertaking. As an ardent proponent of the notion of the 'Middle Kingdom,' Martini was naturally inclined to set Beijing as the latitudinal center of the world. This, however, was in direct contradict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f Greenwich as prime meridian. Martini cunningly circumvents this problem by setting not one but two prime meridians.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provided therein was more detailed and extensive than any other source available at the time. Korea, a peninsula state, borders Manchu (transcribed here as Niuche) at a large river. This much had already been provided in the accounts of Luís Fróis and Richard Hakluyt. Furthermore, while Antonio Carletti does name the 8 provinces that comprise the Korean Peninsula, his manuscript was not publish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In Joan Blaeu's Atlas Novus, Martini provides the correct names of all 8 provinces (according to their pronunciation in Chinese). However, Martini incorrectly lists Pyongyang as the capital city. On an interesting note, Martini explains that the designation 'Corea' was in fact introduced to Europe via Japan, and that the Chinese prefer 'Chaosien' or 'Chaohsien.' Martini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theory of 'Gija Joseon(箕子朝鮮)' to the West. In truth João Rodrigues, a Jesuit priest in Japan had already made references to Gija Joseon in his manuscript; however, the manuscript was not published during his life time. In Novus Atlas Sinensis, Martini bases his outline of Korean history on Gija Joseon. According to Martini,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dates back as far as 1211 B.C., when Emperor Wu of the Chinese Zhou Dynasty conferred a new stretch of land to his close relative Gija, who subsequently become the founding ruler of Korea. As the story goes, this new kingdom was thereafter referred to as Joseon by later Chinese Han emperors. After the fall of the Han Dynasty, Korea seemed to be released from Chinese control, but later achieved political stability by becoming a tributary state during the Chinese Tang Dynasty. Martini relates that when new Korean rulers assumed the throne, they are obligated to travel to Beijing to pay their respects to the Chinese emperor. Martini also explains that in 1651, during the Chinese Qing Dynasty, Koreans rebelled against the Chinese when they were required to follow Manchu customs and dress. Clearly Martini regards Korean history as an inconsequential side story to Chinese own history. With the exception of Joseon, Martini makes no reference to other earlier Korean dynasties such as Goguryeo, Shilla, Baekje, or Goryeo, preferring to gloss over the names with the all encompassing designation of 'Corea.' Nevertheless Martini's was the first European account to provide an, albeit cursory, overview of Korean history. Martini also writes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him, the land is so fertile that the Korean people can produce practically everything they need, and there is an abundance of rice and wheat. Korea is particular famous for its pears and pearls, and he also lists ginseng, paper, lacquer ware, and writing brushes as Korean goods particular prized by the Chinese. Gold and silver are in abundance in Korea, and the major cities are teaming with people, although Martini admits he doesn't know exactly how much. Martini surmises that despite (or owing to, as the case may be) its large population and land size, Korea tends not to associate with foreign countries outside China and Japan. Martini makes reference to Korea's culture and customs. He states that Korea's cities, structure, administration, customs, attire, language, etiquette, and religious practices are similar to those of China. However, he qualifies that Korean women, unlike their Chinese counterparts, frequently appear in the public and customarily travel with their husbands. Furthermore, the youth of Korea are allowed to select their spouses without prior consent of their elders. In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funeral rites of Korea and Japan, Martini writes that Koreans house the tightly bound remains in a beautifully decorated coffin for three years before burial. Martini's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was published in Munich in 1658. In the book, Martini traces China's ancient history from the time of Noah's flood to the birth of Jesus Christ, more specifica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Emperor Fu Hsi in 2952 B.C. to the middle of the Han Dynasty. Through the book, Martini sought to educate his European readers to the fact that China possessed a cultural history just as long and illustrious as that of Greece or the Ancient Roman Empire, and that China was as much a cradle of civilization as the Biblical Middle East. To be sure, the book was a must read for Europe's China specialists; however, it failed to achieve the notoriety or wide readership enjoyed by Bellum Tartaricum, evidenced by the fact that only two separate Latin editions (Munich in 1658 and Amsterdam in 1659) were ever published. In providing a multifaceted description of China in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Martini consistently uses the ancient Roman Empire as a frame of reference. He contends that China and the ancient Roman Empire had indeed a lot in common, such as their long history, extensive territorial mass, and manifestation of resplendent culture. Whereas Semedo recognizes Europe's superiority in the areas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tini sees China as having the upper hand in both culture and science. He states that although the Europeans may well be superior in physical terms, the Chinese are nevertheless the more intellectually astute, evidenced by the marvelous achievements in industrial technology, bridge building, and waterway construction. In sum, Martini discerns China to be on at least equal, if not superior, footing to Europe. Martini's drawing of cultural comparisons between China and the Ancient Roman Empire made for him the decline of the Ming Dynasty all the more unfortunate. Like the Roman Empire in the past, China was now beset and eventually conquered by barbarians. Martini's rather nonchalant reference to China's neighbors as 'barbarians' and his rather farfetched comparisons betwee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Europe and those of China presumably derive from his eagerness to better reflect the tastes of his European readers, thereby facilitating their indoctrination to the realities in China. Martini's narrative amply reflects his Christian view of history. If his accommodation of sinocentricism stemmed from his sense of pragmaticism, then his view of history was firmly grounded in his devout faith. He believed that the Manchu invasion of China was a fulfillment of nothing less than God's Divine Will. Just as He had brought down the once invincible Roman Empire to spread Catholicism throughout the world, God was doing the same here in China. In Martini's eyes, the Manchu people, as well as their leadership, possessed the tolerance to someday accept Catholicism. In this manner, both Martini and Ricci works exhibit the contradiction of uncritically accommodating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of the Chinese gentry in one hand, yet welcoming the so-called 'barbaric' Manchu people as potential promoters of their mission cause on the other hand. V. The Accounts of Juan de Palafox y Mendoz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long with Martini's book, numerous other sources kept Europeans informed about the social turmoil in China at the tim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mong these sources, the Spanish accounts and the Portuguese accounts differ considerable in terms of their views pertaining to the political shifts in the Far Ea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uch as the downfall of the Ming Dynasty and the ensuing rise of the Manchu as the dominant power in the region,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particular, those such as Mendoza and Montanus, who were openly critical of the Jesuits, sought to remedy Europeans' negative conceptions of the Manchu people, as well as of the Koreans. Palafox y Mendoza, who came from an aristocratic Spanish family, had never personally set foot on Chinese soil. Nevertheless during his tenure as Bishop of Puebla de los Ángeles in Mexico, he was able to receive regular dispatches from Macao and Manila on the China situation up to the end of 1647, which later served as the basis for his Historia de la conquista de la China por el Tartaro (History of the Conquest of China by the Tartars), a fact stipulated by Mendoza in the preface to the book. Interesting enough Mendoza does not acknowledge Martini as a source for his accounts. Given the fact that at the time, Portugal had been granted exclusive rights to conduct mission work in China,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Spanish Mendoza would have harbored some amount of animosity toward the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Despite Mendoza's manifest anti-Jesuit sentiments, his book went a long way in challenging the Europe's established conception of the Chinese people and the Manchu people. If Martini is overtly favorable toward Ming China based on his sinocentric propensities, Mendoza is outspoken in his rebuff of the notion of the 'Middle Kingdom' and does not hide his admiration for the Manchus. In Mendoza's view, the Manchus, in contrast to the Mings, did not stand on ceremony and were not antagonistic toward Westerners. Praising the Manchus for the uncommon valor, Mendoza foresaw that China would be born anew through them. He goes as far as to state, "the Golden age [of European antiquity] was gone from Europe into Tartar." According to Mendoza's assessment, unlike the Japanese, the Manchus, once regarded as barbaric, tended to be much more reasonable and judicial in their treatment of foreigners. Mendoza also sees Emperor Shunzhi as a ruler moderate in character and endowed with abundant virtue. Mendoza compares the breakup of the Christian nations in Europe in the face of the Islam threat to the Manchu invasion of China and urges the European monarchs to learn from China's mistakes. He reminds them that different peoples (namely the Mongols and the Manchus) had united to overthrow the oppressive Chinese, and chastised Europe's Christians for their petty squabbles even with the Ottoman Turk at the gates. Just as Scipio faced up to reality after Rome defeated the Carthages, Mendoza stipulates that there was a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collapse of China and implores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and Cochin China not to repeat the failures of China. Furthermore, he writes in no uncertain terms that the Emperor and the officialdom of Manchu were considerably more effective in the enforcement of law and order than the European leadership and that they should try to emulate the so-called "barbarians." Clearly Mendoza's assessments were motivated by his God-centered view of history, in lieu of sinocentricism. Thus from his standpoint, nations in the Far East were essentially equal under God. This also serves as basis for his views on Korea. Mendoza's Historia is comprised of 32 chapters, and the third chapter is devoted to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Mendoza's account seems to augment Martini's own account of the incident. Martini fails to mention the 'Humilitation at Samjeondo,' was well as the Crown Prince Sohyeon's captivity in Beijing. In contrast, Mendoza's i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the 'Humilitation at Samjeondo' is mentioned in a book publish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he Mendoza's account of the incident, the Manchus were able to occupy the greater part of Korea at great cost. The Korean king was well aware that in terms of military strength, Koreans was no match for the Manchus, and in lieu of pointless resistance, he ultimately opted to yield to the aggressors. Confident that he would retain his throne once the Manchus acknowledged Korea as a subject state, the Korean king lay down his crown before the feet of the Manchu emperor. Manchu estimated that faced with an almost impossible situation, the Korean king acted most sagaciously. The truth be known, Mendoza's account of Korea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 dates of specific events are not accurate, and Mendoza glosses over certain proper names, in the fashion of 'this Korean king' or 'that Korean prince,' apparently in consideration of his novice readers at large. Nevertheless, Mendoza's Historia provides the most comparative factual and insightful rendering of the Korea situation of related books of the period. Mendoza contends that Korea had enjoyed a long history as an independent state, made to pay tribute to China only due to its inferiority in strength. He graciously surmises that Korean King Injo's humiliating submission at Samjeondo was in fact an unavoidable choice of a sagacious leader of a weak country. Throughout his account, Mendoza consistently portrays Korea as a politically independent state nation. Historia was published in Paris in 1679 in Spanish, after Mendoza's death. The French edition came out in Paris the same year. The English edition was translated from the French edition and published in London in 1671, the second and third edition coming out respectively in 1676 and 1679. For nearly ten years, Mendoza's Historia succeeded in capturing the interest of the Europeans. VI. Conclusion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source of information on Korea available to modern Europe. For practical purposes, the study limited its purview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o records of Jesuit missionaries active in China at the time. Prior to the advent of Hendrick Hamel's famous account, reports published by Matteo Ricci and Nicolas Trigault, Alvaro Semedo, Martino Martini, and Juan de Palafox y Mendoza were the West's exclusive source of information on Korea.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uring their time and for a considerable span thereafter, these reports were widely disseminated and were very popular among Europeans. During the 17th century, these accounts were translated into Latin, Spanish, Portuguese, English, French, German, Italian, Dutch, Swedish, and Danish, in major cites like Rome, London, and Paris. All in all, no fewer than 48 different editions of the accounts are known to exist.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Athanasius Kircher, Voltaire and William Griffis, these accounts were valued as source materials for Western intellectuals interested in Korea and/or seeking to write about Korea. For the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rimary window to Korea was the military confrontations waged in China and i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reports on the late 16th century Imjin War trickled into Europe via Jesuit missionaries in Japan at the time, China based missionaries were Europe's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Invasion of the Manchu into the Korean Peninsula, the so-called 'Humilitation at Samjeondo,' and Crown Prince Sohyeon's coerced sojournment in Beijing. For the Western missionaries, the Imjin War, albeit fought on Korean soil, was a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ain regional superpowers of China and Japan. Consequently, it was ultimately through the heroism of the Ming expeditionary forces that Korea was spared from the clutches of its mortal enemy. This notion of Korea's subservience of Korea toward China is also evident in the Jesuit missionaries reports on the Korea situation during the late Ming/early Qing period. As the invading Manchu hordes marched toward the capitol, the desperate Ming Court requested military assistance from Korea, and the Korean Court had no recourse but to comply. However, no sooner had Manchu gained the upper hand, the seemingly opportunistic Korea cowed down to the Manchu. The image of Korea as the consummate subservient irrecoverably clouded the missionaries' assessment of Korea's political disposition. The missionaries consistently described Korea as being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bservient to China. In particular, Martini was the first westerner to introduce the theory of Gija Joseon to Europe at large. João Rodrigues, a Catholic missionary in Japan, had uncritically accepted the 'Imnailbonbu theory(任那日本府說)' and propagated the notion to other Europeans through his História da Igreja do Japã o, published in the 1620s. It is beyond the purview of this study to add to the debate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Imnailbonbu theory.' It is, however, relevant to note that such theories have been made known to the West much earlier than had previously been thought. Suffice it to say that the Jesuit missionaries wer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West's uncritical acceptance of agenda-ridden propositions that seem to justify the colonialization of Korea, such as those of 'Gija Joseon' and 'Japanese Mimana,' which succeeded in molding the biased perceptions of western books on Korea up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Undoubtedly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ere instrumental in introducing to the Europeans the history, cultu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 special products of Korea. However, as with their brethren in Japan, they were united in their view of Koreans as being secluded and exclusive. They were in fact reinforcing the negativism previously voiced by Guillaume de Rubrouck and Marco Polo in the 13th century. The one determining factor that weighed heavily in the Jesuit missionaries' conception of Korea was sinocentricism. The missionaries readily accepted the Chinese world view, which placed them a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all peripheral states as being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bordinate to it. These satellite states were naturally thought to be haplessly barbaric, with little in the way of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of the Jesuit missionaries proved to be problematic in two respects: First, the Jesuits accommodated sinocentricism to facilitate their missionary work among the natives, yet later when addressing their European audience through their publications they had to justify their views by trying to convince their readers that the Chinese had the level of history and culture comparable to nothing less than the ancient Roman Empire. Secondly, since the missionaries assumed the infallibility of the Catholic doctrine, they had to reinterpret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ccording to established Catholic norms. The ensuing 'Chinese Rites Controversy' was in fact a clash between sinocentricism and eurocentricism. The Jesuit missionaries inevitably saw the overrun of China by Manchu barbarians as a working out of the Divine Will of God, just as God had fulfilled His will by allowing the Ottoman Turks to bring about the downfall of the Roman Empire. To be sure, not all Catholic missionaries in China at the time accommodated the 'Middle Kingdom' mentality. For instance, Juan de Palafox y Mendoza rejected the conventional hierarchy of China above Korea and basically regarded both as being equal under the grand Christian world view. However, Mendoza was certainly in the minority. Most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regarded Korea on the basis of a unique multiple world view of sinocentricism and eurocentricism. Accounts on Korea by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uropean perception on Kore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focusing on writings by Jesuit missionaries to China at the time. Jesuit missionaries such as Matteo Ricci, Martino Martini, and Alvaro Semedo regularly reported on major events in the Korean peninsula vis-à-vis the China's own political situation. Just as the European missionaries in Japan served as unofficial war correspondent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Jesuits in China faithfully reported on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respectively in 1627 and 1637. In the eyes of the Jesuits, Korea was a consummate tributary state of China,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culturally dependent on the latter. In this vein, the Imjin War, albeit fought on Korean soil, was for all means and purposes a war between the two major powers in the regions, China and Japan. At the center of the Jesuit's partial perception of Korea and its people, lies the long-held notion of the 'Middle Kingdom,' which holds that China is at the center of the world, with all neighboring nation states being peripheral and subordinate to it. The missionaries struggling to establish a Christian base in China accepted, if not embraced, sinocentricism as a means to facilitate their missionary efforts. Yet at the same time, it was not lost on them that it was after all Eurocentricism that provided the justification of their missionary campaign among the Asian pagans in the first place. They sought to circumvent this quandary by tactfully elevating China on equal footing to any great nation in Europe itself. Nevertheless, the Jesuits were not successful in fully resolving the innate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polar world views. Perhaps until the publication of the celebrated Hamel journals, the accounts of the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was Europe's exclusive window into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During their time, these accounts were immensely popular, evidenced by the fact that no fewer than 48 different editions of the works are in circulation at the time. In addition, leading western minds of the time, such as Athanasius Kircher, Voltaire and William Griffis interested in Korea and/or seeking to write about Korea, relied on these accounts as primary source materials. To be sure, these early accounts, for better or for worse, continued to mold Western perception of Korea up to the early 20th century.